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284.jpg
KCI등재 학술저널

비대면 창업 멘토링의 이해와 창업지원사업의 발전을 위한 시론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Understanding of Contactless Startup Mentoring and the Development of Startup Support Programs: Focusing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Training Satisfaction

DOI : 10.24878/tkes.2021.16.2.89
  • 99

최근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해 창업교육 현장에서 비대면 멘토링으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창업 멘토링의 효과와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비대면 창업 멘토링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비대면 창업 멘토링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이 창업 의지와 교육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서울시창업카페 양천상상캠프의 멘토링 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비대면 창업 멘토링의 개선점을 탐색하였는데,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록 만족도와 재참여 의사가 높게 나타나 멘티의 능동적인 태도와 멘토링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 관계를 발견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개인적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니즈를 나타내었으므로 멘토는 참여자의 특성을 세밀하게 고려하여 수준이나 기간별로 맞춤형 멘토링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덧붙여 기관 또한 네트워크 연결 문제나 즉각적 피드백의 부재 등 비대면의 한계점을 해결해나가야 한다. 셋째, 1시간(1회 기준)의 멘토링에 대해 참여자들은 대부분 시간이 부족하다고 평가하였기 때문에 상담 횟수를 최소 3회 이상으로 늘려 참여 기회를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비대면 창업 멘토링의 홍보 수준은 낮게 평가되며, 특히 디지털 역량에 따른 정보소외계층도 창업 멘토링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와 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창업교육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이를 통해 창업지원기관의 질적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처럼 참여자의 니즈를 충족시킨 맞춤형 지원이 늘어날수록 창업 멘토링이 창업의지 고취와 창업의 성공이라는 초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With the recent outbreak of COVID-19, startup training has rapidly shifted toward mentorship programs in a contactless setting. While studies on the effect and improvement of startup mentorship have continuously been made, contactless startup mentorship has not yet been studied adequatel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tactless startup mentorship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training satisfaction based on the mentorship program at the Yangcheon-Sinjeong branch of Seoul Startup Cafe. Additionally, measures to improve upon contactless startup mentorship were explored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the participants wanted to volunteer to take part in mentorship,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the willingness to rejoin the program, indicating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tee s positive attitude and the effect of mentorship. Second, since the participants showed different need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circumstances, it is recommended that mentors provide customized mentorship in level or duration by careful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icipant. Institutions also need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contactless interactions, such as network connection issues and lack of immediate feedback. Third, as most participants found the one-hour mentoring session not long enough, increasing the number of sessions to at least three is recommended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Fourth, publicity for the contactless startup mentorship was generally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institutions to take more active measures to make access to startup mentorship programs easier for those marginalized from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 this way, they can also take advantage of startup mentorship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startup training systems and be of significance in contributing to strengthening the qualitative capacity of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It is expected that an increase in customized support that can meet the needs of participants will lead to the achievement of the initial goals of startup mentorship: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success in startups.

Ⅰ. 서 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연구의 한계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