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칵테일 바 이용객의 불량행동에 대한 종사원의 마음챙김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Customers’ wrongful behavior on cocktail bar employees’ job stress and job switching intention through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 172
156419.jpg

본 연구에서는 칵테일 바 종사원이 지각한 고객불량행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고객의 불량행동, 종사원의 마음챙김요인,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 도 요인간의 인과관계에 대해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칵테일바에 종사하는 종사원(바텐더)으로 방문 또는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총 200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91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고객의 다양한 불량행동은 바텐더종사원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는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근무환경의 개선, 정기적인 심리상담실시, 다양한 운동 및 심리치료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자존감과 만족감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칵테일 바 종사원의 직무애 대한 애착과 역량개발 의지가 높은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칵테일 바 운영자는 직원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비전을 제시하고, 능력향상에 따른 업무 배정 및 고과에 따른 합리적인 보상체계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고객의 불량행동을 접하는 종사원들이 마음챙김 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훈련과 연습 할 수 있는 분위기 및 제도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고객불량행동은 마음챙김 요인을 매개로 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칵테일 바 종사원의 마음챙김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This study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bad customer behaviors on bartenders’ job stress and job switching intention and find a causal relationship among related variables an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Samples for this study were bartenders working at bars around the country. 200 self 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91 were finally used for further analysis. With the findings abov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ly, as customers’ wrong behavior did have a harmful effect on bartenders’ mental and physical stress and therefore negatively affect on job satisfaction, management’s effort in increasing self awareness and improving self satisfaction through enhancement of work environment, periodic psychology consultation and various physical and psychotherapy sessions would be highly recommended. Secondly, it was founded out that bartenders’ had strong attachment to job itself and future career development, it is highly recommended to set up reasonable incentive system as to the performance and propose a realistic vision so that bartenders could reinforce further. Thirdly, as customers’ wrongful behavior di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indfulness, a special training and practice session on enhancing mindfulness as well as brightening up the mood and organizational support should be adopted as early as possible. Fourthly, as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mong customers’ wrong behavior, job stress and job switching intention, importance of mindfulness on cocktail bar employees should never be looked dow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