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is research was aimed at empirically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depression and self-effectiven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personal relationship and examining the medium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in those casual relationships. To achieve such goals, this research set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are the depression, self-effectivenes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ersonal relationship trends of university student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is there any correlation among the depression, self-effectivenes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ersonal relationship trends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what effects do the depression, self-effectivenes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personal relationship trends? Fourth, does appearance satisfaction have the medium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and self-effectiveness and their personal relationship trends? For those problem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600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Chungcheongnam-do, and Jeollabuk-do, and while 59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 total of 572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to analyze data after excluding unfaithful and unmarked questionnaires. By using PASW statistics 18.0 and AMOS 16.0 statistics analysis program, t and F verifica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t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7)
- 공간계량분석방법을 이용한 부산 주택특성가격 모형 비교
- 지방자치단체의 기업유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경로의존성 연구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연계(협력)체제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집중과 지역격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하이테크산업 지식네트워크의 구조적·공간적 특성
- 대구경북 새마을운동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재난대응체계의 바람직한 개선방향 연구
- 김영삼·김대중·노무현 정부의 행정개혁에 관한 탐색적 비교 연구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영국 행정학의 연구경향 비교분석
- 비교론적 고찰을 통한 한국형 영어마을의 모형 연구
- 한국, 중국, 일본의 지방행정에 있어서 행정실무계층의 역할과 부패유발구조에 관한 비교 연구
- 지방정부 사회복지 지출 추이의 비교ž분석과 함의
- Environmental Policy in Japan: The Effect of Japanese Citizen Groups on Policy-Making
- 지역축제가 도시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