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독자적인 문화권으로 존재했던 동북아 지역은 19세기 이후, 이른바 서세동점과 제국주의 시대를 거침으로써, 서로 다른 근대화 과정을 걷게 되었다. 그로 인해 문화적 동질성도 있지만, 동시에 어쩔 수 없이 다양성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지난 몇 십년 동안 경제성장과 민주주의라는 측면에서 동북아시아 지역은 가장 역동적 지역으로 주목되어 왔다. 거대한 제국으로서의 미국과 유럽연합에 대응해서 동북아시아 지역을 근간으로 하는 지역통합을 구상해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지역통합 나아가 공동체 실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그 구성원 간의 소속감과 일체감의 공유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문화’적인 측면에서 동북아시아 문화공동체 구상과 더불어 현실적으로 그것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동북아 문화공동체는 단순한 과거로의 회귀가 아니라 앞으로 적극적으로 지향해나가야 할 ‘상상의 공동체’라는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Northeast Asia as a whole has been considered as a unique cultural entity. Since 19 century, however, each country has experienced a distinct path of modernization process in responding to the impact of Western imperialism. Although there was an element of cultural homogeneity, there also has been diversities in the region. Recently, the countries in the Northeast Asia has become the most dynamic region in terms of economic growth and democracy. The idea of regional integration in Northeast Asia has been triggered in response to the regionalism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America. Sharing identities is the most important inducing factor in accomplishing regional integration as well as the building a community. In this paper, our focus is on the cultural factor, which, we believe, is a key variable on promoting cultural community in Northeast Asia. The image of cultural community is not derived from our past history. Rather, it is to reach out to the people of the ‘imagined community’ of Northeast Asia in the future.
Ⅰ. 머리말
Ⅱ. 동아시아공동체와 동북아공동체: 개념과 범주 구분
Ⅲ. 독자적인 ‘문화권’으로서의 동북아시아
Ⅳ. 동북아시아의 역사적 변화: ‘문화’의 연속성과 단절성
Ⅴ. 맺음말: ‘상상의 공동체’와 정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