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337.jpg
KCI등재 학술저널

세계화 시대의 동아시아 민족주의

신민족주의의 분출과 동아시아주의적 모색

  • 12

본 논문은 세계화 시대의 동아시아 민족주의를 탈냉전의 국제질서와 탈근대적 문명구조의 상호작용이라는 맥락에서 ‘권역화’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세계화는 한편으로 ‘재국민화’의 계기로 작용하여 민족주의의 재결집시키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세계화에 대한 촉진제이자 보호기제가 되는 ‘지역화’를 자극하기도 한다. 아울러 세계화에 대한 대응은 권역별 차이를 시현(示顯)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세계화가 ‘지역화’를 자극하여 광역․복합의 탈근대형 국가연합을 형성했고 ‘(일)국가’ 민족주의가 아니라 ‘(다국가)혼성’ 민족주의를 만들어내었다. 동아시아는 탈냉전에 따른 지역질서의 유동성 심화와 ‘세력경쟁질서’의 전개, 이에 연동된 이 지역 주요 국가들이 ‘국가성’의 전환이 작용하여 영토, 과거사 등을 매개로한 민족주의가 재연(再燃)되고 있다. 한편, 동아시아에도 세계화의 시대전환에 조응(調應)하여 근대적 패턴의 ‘재국가화’가 아니라 ‘탈근대’․‘지역화’의 패러다임을 궁구(窮究)하고 이 속에서 열린 민족주의의 조건과 가능성을 탐색하는 흐름도 생겨나고 있다. ‘세계화 시대’의 동아시아에는 신민족주의적 분출과 탈근대․지역화를 촉진시키는 동아시아적 모색 간의 분지와 동시에 융화의 변주(變奏)가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Nationalisms in North East Asian countries are being revitalized in the post-Cold War and Globalization era. The resurgence of nationalism in this region reveals the regional differentiation of the transformative influence of globalization on nationalism. In contrast to European nations, which have built a post-modern confederation of states in the context of regionalism, Northeast Asian countries mobilize a new pattern of territorial and cultural nationalism. Northeast Asia’s neo-nationalisms aggravate diplomatic disputes among the member states of the region. Despite neo-nationalistic trends, the Northeast Asian regionalism, promoting cooperations and searching for a community, emerges in various forms and across diverse levels. The future of Northeast Asian nationalism will be transformed by the interplay of statism and regionalism. The deepening of globalization will increase the vital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efforts of regionalism.

Ⅰ. 들어가며

Ⅱ. 세계화와 민족주의

Ⅲ. 탈냉전과 한․중․일의 ‘국가성’(stateness)의 전환

Ⅳ. 한․중․일의 신민족주의 이데올로기

Ⅴ. 탈근대 문명전환과 동아시아주의의 모색

Ⅵ.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