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개방의 눈부신 성과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가 가져온 부정적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정치체제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수많은 견해들이 제시되고 있다. 삼개 대표론이나 사민주의 논의를 통한 제삼의 길, 혹은 민족주의에 대한 강조가 중국 당과 국가의 통치 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내기 위한 주된 논의방식이라면 국가권력에 대항적 개념으로서의 사회변혁 담론은 좌우 양 진영에서 나타나는 신좌파와 자유주의의 논의와 논쟁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국유자산의 유실과 빈부격차 등의 문제를 매우 실증적으로 지적해 중국 지식인 사회에 파문을 던졌다. 공정한 제도와 절차적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자유주의와 중국의 시장경제, 자본화에 대한 비판세력으로 등장한 신좌파의 담론은 그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시민 권리의 보장과 공적 영역의 창출을 통한 사회변혁을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서로 수렴되는 영역을 공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당대 지식인들의 고민을 담은 담론과 사상을 고찰하는 것이 현 중국사회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시각을 제공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1990년대 중국에서 나타난 신좌파와 자유주의의 논의를 지식인 논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두 논의의 등장과 담론의 주체가 누구인지를 밝히고, 신좌파와 자유주의 논의가 어떤 내용과 쟁점을 기반으로 진행되었는지 설명했다. 더불어 중국의 신좌파와 자유주의 논의에 대한 한계를 점검함으로써 두 논의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고, 한계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중국지식인 논쟁이 중국 사회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If one can say that Chines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1980 s had the tendency of pursuing rapid changes together with a philosophy of enlightenment, as the results of reform started to come in the picture, Chines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1990 s has the tendency of diverse thoughts about social change.In discussing social change argument, this study intends to use the method of describing through division of the intellectuals and setting the scope and variables of their discourse in 1990 s. The problem is how to solve the questions of how to divide Chinese intellectuals, how to make a stipul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social change argument. This study intends to divide Chinese intellectual groups largely into two, which are new-left and liberalism. The reason why these Chinese intellectuals are divided is new-leftist and liberalist came to have different pointing and contents due to the estimation of Mao legacy and the presence of reformation. Through a discussion on four issues relating to the argument of new-left and liberalism, this paper will attempt to approach the essence and underlying implication of Chinese intellectuals controversy and evaluate its meaning.
Ⅰ. 서론
Ⅱ. 신좌파와 자유주의 논의의 등장과 담론 주체
Ⅲ. 신좌파와 자유주의 논의의 내용과 쟁점
Ⅳ. 신좌파와 자유주의 논의의 한계
Ⅴ. 결론: 신좌파와 자유주의 논의의 의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