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에 있어서 업계의 역할 변화 연구
기후변화에 관하여
- 오경택(Oh, Kyung-Taek)
- 한국세계지역학회
- 세계지역연구논총
- 제30집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2.12
- 309 - 332 (24 pages)
환경 거버너스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업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기후 거버넌스에 있어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일부 주요 기업들이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공개적으로 온실가스 국제규제를 지지하고, 자사의 온실가스 방출량 목표를 설정하고,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하였다. 또한 글로벌 투자 네트워크가 녹색 투자를 확대하고 기업의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책임있는 경영을 요구하게 된다. 쿄토의정서 체결과 고유가 현상 등에 의해 신재생에너지 시장도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업계의 이와 같은 변화는 업계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와 사회의 움직임에서 기업 활동의 위험과 기회를 발견하고 인식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기후변화의 위험에 대한 과학적 합의가 확대되고 국제적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는 기업들에게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부여했으며, 각국의 녹색성장 정책은 기회를 제공했음을 알 수 있다.
The participation of business is essential for successful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Since mid-1990s, several major business groups have participated in the climate governance. They voluntarily announced to support international regulation of greenhouse gases, set corporate reduction goal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increased the us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Also, some global investor networks started to expand green investment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in terms of business risks and social responsibilities. The changing position of business can be explained by its finding risks and opportunities in the responses of the states and societies to the global climate change. Business recognized that scientific consensus was strengthening about climate risks and that international or national regulations was tightening on greenhouse gas emissions. Lastly, the green growth policies of major states also encouraged business toexpect business opportunities in climate governance.
Ⅰ. 서론
Ⅱ. 업계의 변화
Ⅲ. 변화의 요인
Ⅳ. 결 론: 요약 및 한계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