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대량의 리콜 사태 이후 도요타의 글로벌생산시스템의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분석 대상은 글로벌 링크생산시스템, 마더공장, 부품공용화 문제 등이다. 도요타의 대량 리콜 사태가 글로벌 양적 확대 전략에 기인한다는 지적이 있으나, 이로 인해 글로벌 생산 전략에 근본적인 변화는 일어나지 않고 있다. 리콜 사태 이후 세계적인 감산 과정에서 글로벌 생산-판매 연계 전략에 문제는 있지만 링크 생산 및 마더공장 체제 등 도요타의 글로벌 생산기반은 여전히 효율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글로벌 부품조달 측면에서는, 부품공통화가 품질 저하와 대량 리콜의 원인이라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양산 차종과 IMV 등 전략 차종에서의 부품공통화 전략은 여전히 유효하다. 리콜 사태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통합기업을 향한 도요타의 글로벌 생산시스템 구축 노력은 지속될 것임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o what extent the Toyota’s global production system after the massive recall. I focus on three parts of Toyota’s global production system, the rink production system, mother plant, and standardization of components. I do not agree to the argument that the Toyota’s massive recall is attributed to its strategy of globalization of high-volume production sites to maintain its price competitiveness, which results in a quality failure.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oyota has solid base of global rink and mother plant system in spite of recall and diminish of demand. As a result of standardization of components, when there is a problem, this lead to a massive recall. However, that does not mean that standardization will lead to reduced quality, and then Toyota’s global strategy for the standardization of components will continued. It is evidence of the steady evolution of Toyota’s global production networks and shift to globally integrated enterprise in spite of recall crisis.
Ⅰ. 서론
Ⅱ. 도요타 리콜 사태의 경과와 파장
Ⅲ. 도요타 글로벌생산체제의 딜레마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