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의 도래와 함께 문화관광이 지역발전의 주요 기제로 자리 잡았지만 실제 대도시의 문화관광은 세계적으로 구조적 동질화 과정을 겪으면서 지속가능성의 담보라는 도전에 직면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글은 창조도시 발전전략의 일환으로서 창조관광이라는 관념에 천착한다. 창조관광은 방문객의 창의적 잠재력을 개발하고 방문지역이 제공하는 특유의 체험과 학습을 통해 관광을 확대재생산하는 진화된 형태의 문화관광이다. 이 점에서 창조관광은 오늘날 대도시 문화관광이 직면한 복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전략적 함의를 지닌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문화관광의 발전과 그 연장선상에서 창조관광의 작동 양식을 분석하는 한편, 문화이벤트와 창조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창조관광의 진전된 양태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창조관광의 발전에는 관광지의 차별화된 정체성이 중요하며, 그 형성과정은 문화예술의 생산자와 공적 펀드의 역할에 더해 주민참여에 의한 진정성의 구현과 관광업계 내부로부터의 주도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얻는다.
In the era of creative economy, cultural tourism constitutes a key mechanism for regional development. However cultural tourism faces a challeng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wing to it s world-wide structural homogenization along the global city-regions. This article deals creative tourism as a creative city development strategy. Creative tourism is an advanced cultural tourism which allows to develop tourist s creativity and to reproduce tourism expansively through locality-based experience and learning. The strategic significance of creative tourism exists in its potential to solve the reproduction problem of the contents of cultural tourism.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ses the working mechanism of creative tourism and its developed features through cultural events and creative clusters. This article emphasizes,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ourism, the importance of a differentiated identity of the locality, which results from local citizens authentic participation and tourism industry s endogenous initiatives as well as the role of cultural producers and public funds.
Ⅰ. 머리말
Ⅱ. 문화관광과 유럽문화수도
Ⅲ. 창조관광의 부상: 배경과 도전
Ⅳ. 창조관광과 창조도시전략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