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359.jpg
KCI등재 학술저널

소셜네트워크 캠페인과 유권자 참여 효과

Social Network Campaign and Electoral Participation Effect: Empirical Analysis of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 23

이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자 집단을 중심으로 시민참여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특히 이 연구는 단순히 SNS 이용 여부에 따른 참여효과를 다룬 종래의 연구 경향에서 진일보하여, SNS에 대한 신뢰도와 이용의 적극도를 기준으로 참여효과를 논구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첫째, SNS 이용자 집단의 정치적 정향을 고찰한다. 정치적 정향은 이념, 정치효능감, 민주주의 만족도를 비롯해서 대의정치 기제(정부, 국회, 정당, 선거)에 대한 신뢰⋅지지⋅관심을 포함한다. 둘째, SNS 이용자 집단의 선거참여 액티비티(activity)를 고찰한다. 선거참여는 SNS 연결, 정보소비, 커뮤니케이션, 조직화, 지지 행동으로 액티비티 수준을 분류한다. 셋째, SNS 이용자 집단의 투표참가, 정당지지 및 후보선택 효과를 고찰한다. 즉 SNS 신뢰도와 적극도에 따라 정치적 강화(reenforcement) 또는 개변(transversion) 효과를 낳는지를 분석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civic participation in elections targeting groups of SNS users. Especially this research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study discussing with participation effect whether it conforms to the SNS, and focuses on the reliability and the use of the SNS. Specifically first, this research examines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SNS users. It has the trust, support and attention of representative politics agents as like the government, assembly, political party and election including ideology, political efficacy and democratic satisfac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elector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SNS users group. Election participation can be classified as SNS linkage, information consumption, communication, organization, supportive action in the level of its activity.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vote, supporting political party and selecting candidates of SNS users.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analyzes whether SNS effect leads to reenforcement effect or transversion effect depending on the reliability and use of it.

Ⅰ. 연구의 목표와 시각

Ⅱ. SNS 이용자 집단의 정치적 정향

Ⅲ. SNS 이용자 집단의 선거참여 행태

Ⅳ. SNS 이용자 집단의 정치적 선택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