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361.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본유교와 ‘황국(皇國) 국체’ 이데올로기

Okawa Shumei and Ideology of ‘Political System of Empire’

  • 20

서구와 동양을 접목시켜 새롭게 이론을 창출하는 ‘탈구축’ 이론 속에는 ‘서구와 동양의 내용 양자’를 통합하여 외부 위치로 새롭게 재구성해 내는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존재한다. 그렇지만 이 탈구축 이론은 실은 오카와 슈메이(大川周明)의 논리에서 보면 ‘반쪽 탈구축’이었다. 오카와 슈메이의 탈구축 이론 속에는 ‘제3의 입장에서’ 심급을 통해 양쪽을 무효화 시키면서 그 구조 자체를 논하기 보다는 전혀 다른 구조를 찾아내는 것으로서 나머지 반쪽 탈구축을 통해 ‘완전한 내적 공동체 논리로서 천황제’를 탈구축해 냈다. 그것은 일본의 ‘우익적 사고’가 전통적 탈구축 이론과 다른 구조를 찾아내는 의미에서의 탈구축이 접목되는 특성을 가졌다는 것을 설명해 주는 것이다. 이에 대표적인 사상가가 바로 오카와 슈메이였다. 오카와 슈메이는 『대학』과 『중용』을 ‘유교사상’적 측면에서 관심을 가지면서도 종교철학적 시대적 흐름 속에서 이를 재해석해 냈다. 물론 오카와 슈메이가 사상가인가 철학자인가라는 문제라기보다는, 대학과 중용을 해독하는 방법론에서, 유교가 ‘종교, 도덕, 정치’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것을 ‘도(道)’라고 규정하면서 출발하는데, 그것은 종교학이나 종교사 연구에서 ‘모든 종교의 공통적 특성’을 극대화시킨 작업과 연결된다는 점이었다. 이를 통해 새롭게 학문의 지평을 여는 방식을 ‘원리’를 체현해 냈다. 오카와 슈메이는 대학에서는 ‘친민(親民)’을 ‘신민(新民)’이라고 해석하면서 수도(修道)의 ‘수(修)’를 ‘수양한다’가 아니라 ‘수양해야 하는 것’으로 다르게 해석한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개인 개인에게 모두 선험적으로 주어진 도는 수양이 중요하기 때문이었다. 그것은 바로 개인의 수양과 신민을 통한 새로운 사회 구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것에는 도의 수양과 성이 핵심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오카와 슈메이는 유교가 서구 학자들이 주장하는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통합해주고, 유교 내부에서의 논쟁을 극복해 냈다. 그 과정에서 중(中)은, 시대적 흐름에 변화하지 않는 보편성을 가진 것으로 동시에 자아와 타자를 초월하여 존재 것을 자각하는 ‘경지’로 설명된다. 그것은 중국에서는 없어진 ‘전통과 황통이 일본의 ‘신도’ 속에 그것이 모두 포함된다고 주장했다. 그것은 바로 ‘자연적인 것=천사상과 도덕적인 것=성과 덕 그리고 평등한 것=천지인’을 통해, 황국 국체가 『대학』과 『중용』에서 찾을 수 있다는 ‘중용이데올로기’를 창출해 낸 것이었다.

In the theory of “deconstruction” that creates a new theory by grafting the west and the orient, there is the point of view that ‘both sides of the west and the orient’is combined and newly restructured to “outer” location. However, this deconstruction theory was ‘half deconstruction’ in the logic of Okawa Shumei. The theory of deconstruction of Okawa Shumei did not discuss the structure itself by nullifying both sides through the instance ‘from the stance of the third party’, but found a whole new structure, deconstructing ‘the Emperor system as a ‘logic of complete internal community’ through the half deconstruction. One of the representative theorists was Okawa Shumei. He not only took an interest into “Daehak” and “Jungyong” from the aspect of ‘Confucian ideas’ but also reinterpreted the theories in a philosophy of religion and stream of times. Of course, rather than the issue that Shumei is a theorist or philosopher, the issue starts from describing the common values of ‘religion, ethics and politics’ of Confucianism as ‘morality’. This is linked to the works maximiz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all religions’ in researches on science of religion or religious history. By doing so, he materialized the ‘principle’ of how to open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the study. Okawa Shumei interpreted ‘citizens(親民)’ as ‘subjects(新民)’in Daehak and ‘ascetic(修)’ of ascetic practice(修道) as ‘have to cultivate’ rather than ‘cultivate’. Because what’s important was self-discipline of morality intuitively given to individuals. This indicated that self-discipline of morality and sincerity played a key role. By doing so, Okawa Shumei showed that Confucianism integ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nation argued by the western scholars and overcome the disputes within Confucianism. Middle during the process has universality that does not change by the stream of times and at the same time is explained as a ‘level’ to recognize presence by transcending ego and others. It was argued that the lost ‘tradition and imperial line’ in China were all included in Japanese Shinto. In other words, based on the idea of ‘something natural = heavens thought and something moral= sincerity and virtue and something equal = heaven, land, benevolence(仁)’, the forms of the empire created ‘Jungyong ideology’ that can be found in “Daehak” and “Jungyong”

Ⅰ. Introduction: The Third Religion and Possibility of Transcendence

Ⅱ. Logic of ‘Religion’ and ‘Confucianism’

Ⅲ. Discovery of Daehak(大學) and Jungyong : Recognition of Twofold Vision

Ⅳ. Invention of Jungyong and Universal ‘Ideology of Heaven-Earth-Human(天地人)’

Ⅴ. Closing Remarks

BIBLIOGRAPH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