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364.jpg
KCI등재 학술저널

현실주의 틀에서 강대국의 공세적인 외교정책

Assertive Foreign Policy of Great Powers in the Framework of Realism

  • 71

본 논문은 이데올로기적 정당성을 추구하기 보다는 정치 및 경제적 이익추구에 기반하여 자국의 군사전략적 목적달성에 중점을 두고 있는 강대국의 탈냉전기 대외정책 본질을 분석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한 미국의 ‘민주주의 확산정책(클린턴 정부)’에 따른 미⋅중⋅러間 現역학구도의 추이도 살펴보고자 한다. 분명히 강대국들의 대외정책은 이데올로기적 정당성에 기인하지 않고 그들의 정치, 경제 및 안보분야의 이익이 우선시 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윤리 및 도덕이 배제된 국가간 관계는 2008년 조지아 전쟁과 같은 군사적 충돌로 귀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러시아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미국의 대외정책은 러시아의 이익을 침해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이다. 비록 상하이 협력기구의 공식적인 기능이 ‘비군사적인 특징’에 한정되고 있으나 분명 反나토적인 성격이 포함되어 있다. 이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적 차원의 강대국들은 공격적인 대외정책을 통해 끊임없이 그들의 영향권을 확대하고 있다. 둘째, 이데올로기적 정당성이라는 구실 하에 자국의 정치, 경제 및 안보이익에 기인한 강대국간의 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냉전기’는 큰 변화됨이 없이 현재의 국제정치에 투영되어 있다.

The paper aims to analyze foreign policies of great powers premised upon not so much on the ideological basis of justice but on execution of their own military strategies to obtain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in the Post-Cold war era. Then, it studies the outcomes of the US ‘extension of democracy’ political course and the current state of relations between China, Russia and the US. Arguably, foreign policies of great powers are based not so much on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justice but have been shaped by their political, economic and security priorities. Intergovernmental relations without moral and ethical standards can cause future conflicts as exemplified by Georgian events in 2008. From Russia’s point of view, US foreign policy focuses only on the preservation of their own interests. In light of this, although the SCO’s official position is non-military, it is considered to be opposing NATO.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lobal powers constantly expand their sphere of influence through assertive foreign policies. Second, the Cold War era has evolved into the present system without much change as international conflicts between great powers are covered by ideological rhetoric while premised upon economic, political and security priorities.

Ⅰ. Introduction

Ⅱ. The Essence of Ideologies for Leading Countries in the Cold War

Ⅲ. Specificity of the Cold War Period

Ⅳ. The Trilateral Relations after the Cold War

Ⅴ.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