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374.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의 이승만 탄핵 재검토

국제정치적 차원을 중심으로

  • 4

본 연구는 이승만의 6개월간의 상해 체류시절을 중심으로 이승만의 탄핵에 관한 기존입장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먼저, 쟁점의 중심 중 외교중심 독립론에 대해서 많은 독립운동가들 역시 긍정적으로 바라보았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승만이 초대 대통령으로 추대된 것은 상당부분 미국에 의존한 외교독립을 기대한 때문이었고 이러한 기대가 좌절되자 반 이승만운동이 활성화되었음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미국이 한국의 독립에 미온적인 입장을 표현하면서 미국중심의 외교독립론 역시 힘을 잃게 될 수밖에 없었음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이승만에 대한 탄핵이 실현되었으며 이는 이전까지 국제법에 의존한 약소국의 독립 역시 가능하다고 믿었던 이승만이 현실주의적 국제정치관을 확실히 굳히고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지향하게 되는 전환점이 되었음을 재구성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소비에트 혁명과 제1차 국공 합작으로 이어지는 국제정치의 흐름을 읽었던 안창호가 집단지도체제에 의거한 좌우합작을 지향하게 됨에 따라 이승만에 대한 탄핵은 가속도를 낼 수밖에 없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승만과 갈등과 화합을 반복했던 안창호가 이승만 탄핵에 가세하게 되는 것은 그가 한민족의 독립을 가장 중시했었기 때문이었음을 서술하였다.

This study reexamined the 6 months Syngman Rhee spent in Shanghai (from December 5, 1920, to May 28, 1921) to reconsider the validity of the existing views that took Rhee’s impeachment as granted and called for a reappraisal of Rhee and Ahn Changho. First, many activist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ere positive toward Rhee’s diplomatic independence movement. Syngman Rhee was elected the first president largely due to the expectations that he could realize diplomatic independence through the United States, but antagonism toward Rhee grew as such expectations did not come to fruition. Secondly, as the U.S. gave a luke warm response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the U.S.-centered diplomatic independence movement also lost its power. This led to the impeachment of Syngman Rhee, which became a turning point for Rhee to pursue a realist perspective toward global politics as well as charismatic leadership. Lastly, the impeachment of Syngman Rhee gathered speed as Ahn Chang-ho, who was conscious of the trends in global politics which began from the Russian revolution and led to the alliance between the Kuomintang an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decided to support the “left-right alliance” based on a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Ahn, who repeatedly had been in a state of conflict and harmony with Rhee, became a figure in the party against Syngman Rhee because he thought highly of independent.

Ⅰ. 서론

Ⅱ. 기존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Ⅲ. 본론: 탄핵의 전개과정과 쟁점들에 대한 재검토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