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Short-term and Long-term Efficacy of Oropharyngolaryngeal Strengthening Training on Voice Using a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in Elderly Women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구강 및 인후두 근력 강화 훈련이 노년 여성의 음성에 미치는 장단기 효능

  • 144
156447.jpg

배경 및 목적: 노화로 인한 음성 기능의 저하는 의사소통과 일상생활을 방해하며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성 음성장애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치료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치료 순응이 필수적이며 모바일 헬스케어는 순응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구강 및 인후두 근력 강화 훈련이 노년층의 음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11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8주 동안 가정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ASSET (A Successful Swallowing with Effortful Training)을 실시하게 하였다. 이 중 프로토콜을 적합하게 수행한 7명(여성 7명, 평균 연령 74.6±5.7세)을 대상으로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효과성 측정은 음성 기능 평가와 음성 관련 설문평가를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음성 기능 평가 결과, 훈련 직후 MPT, F0, CPPs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Jitter, Shimmer, NHR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NHR의 개선이 훈련 종료 12주 후에도 유지되고 있었다. 음성 관련 설문평가 결과, 훈련 직후 VHI-10 총점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논의 및 결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구강 및 인후두 근력 강화 훈련 후 노년 여성의 음성 기능 및 음성 관련 삶의 질이 개선되었으며 음성 기능의 개선이 장기적으로 유지되었다. 본 훈련 프로토콜은 노인성 음성장애의 효과적인 음성치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A decline in vocal function due to aging interferes with successful communication in daily life, and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s part of an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presbyphonia, adherence to regular voice exercise benefits and improves therapeutic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oral and pharyngolaryngeal strength training on voice using a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in elderly women. Methods: Eleven participants performed ‘A Successful Swallowing with Effortful Training (ASSET)’ at home for eight weeks using a mobile health application. A significant training effect was identified in seven participants (7 women, mean age=74.6±5.7 years) who performed the protocol appropriately. The effects of the training were measured by voice function evaluation and voice-related questionnaire assessment. Results: The post-training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maximum phonation time, average fundamental frequency, and cepstral peak prominence smoothed, and significant decreases in jitter local, shimmer local, and noise to harmonic ratio (NHR) (p<.05). Furthermore,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participants’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The long-term post-intervention evaluation showed that the improvement of NHR observed in the short-term efficacy was maintained for 12-weeks post-intervention (p<.05). Conclusion: After the oral and pharyngolaryngeal strengthening training using a mobile application, voice function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were improved and the improvement of voice function was maintained in the long term follow-up. This training protocol can be of use as an effective voice therapy for presbyphonia.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