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해양지역의 여행객 증가와 함께 해양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여 지역의 문화관광상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다. 연구 추진은 다음 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해양이미지의 디자인 발상이 될 수 있는 해양자원 사진자료들을 수집하고 패션액세서리와 패션소품들에 대한 트렌드를 조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통해 색, 형태, 질감 등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미지화하였다. 해양의 조형적 특징이 잘 드러날 수 있는 기법들을 테스트 한 후, 적절한 효과 기법을 패션아이템과 융합하여 시제품을 완성하였다. 패션문화상품 개발은 두 가지 방법으로 추진하였다. 첫째, 해양이미지를 패션기법과 접목해서 개발하였다. 파도, 미역, 조개, 낙지 등 해양자원들의 특징들을 4개 이미지로 분류하고, 각 이미지별 조형적 특징을 발췌하여 특징들과 잘 어울리는 인터록(Interlock), 턱(Tuck), 타이다이(Tie-dye), 컷워크(Cutwork) 등의 기법을 적용하여 트랜디한 문화상품으로 제작하였다. 둘째,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하여 디지털 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바다, 물결·파도의 이미지를 조형화하고 컴퓨터그래픽 기술을 접목해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한 후, 디지털 프린트한 폴리에스테르 원단을 다양한 아이템에 적용하여 패션문화상품으로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해양지역의 독창적인 이미지를 담은 패션문화상품을 개발이라는 점에서 해양지역의 해양관광도시개발정책에도 부합함과 동시에 지역사회의 관광산업발전에도 함께 동참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ocal cultural and tourism products by developing fashion cultural products with marine images along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ourists in marine areas. The research steps are as follows. First, collect the marine resource photographs for the design ideas of marine images and survey the trends on fashion accessories and fashion goods. Second, analyze formative features such as color, shape, and texture through collected data for the ocean image. Third, test techniques to reveal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ocean. Fourth, combin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with fashion items to complete the goods.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was carried out in two ways. First, it is a way by combining marine images with fashion techniques.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resources, such as wave, seaweed, clams and octopus, were divided into four images, and each image was extracted with formative features and developed into fashionable cultural products by applying fashion techniques. Second, it is th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al products using computer graphics. After developing a textile design by computer graphic techniques for images of sea and waves, digital printed fabrics were applied to various items to complete them as fashion cultural products. This is a meaningful study that can be in line with the Mokpo regional New Marine Tourism City Development policy and als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in the local communi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해양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