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는 기존의 것을 이해하는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체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 지도 방안에 대한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소조와 관련된 교과서를 분석하여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으며 작가가 작품 활동을 하는 과정을 모티브로 하여 입체작품 이해 능력 신장 방안을 5단계로 만들었다. 이를 학생의 수준에 맞게 6종의 질문지를 만들어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그 결과를 질적 분석하였다. 여기서 얻은 결과는 감상 활동과 관련하여 원작품에 대한 제목 붙이기가 가능해졌으며, 소조 표현 능력과 관련하여 원작품과 유사하게 모델링 작품을 표현하였다. 이는 입체작품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는 근거로 삼을 만하다. 결국 연구자에 의해 제안된 5단계의 지도 과정은 입체작품의 이해 능력을 신장시키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제한된 연구대상자와 질적 연구 방법에 의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에, 이에 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alented and gifted individuals, who are multi-creative and needed by society that is established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needs to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pre-existing things. Therefore, in this study,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plans through which students can better understand three-dimensional works were researched. For the sake of this research, textbooks related to sculpting and molding were analyzed and used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tudy, and the method of enhanc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three-dimensional works was made in a five-step how-to based on the process of the artist s work activities as a motif. Six questionnaires were made according to the student s level and provided to the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obtained was that it became possible to attach a title to the original work in connection with the media activity, and the works of sculpting were expressed similarly to the original work in terms of the ability to express small elements. This is enough to use as a basis for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ree-dimensional works. In the end, the five-step instructional process suggested by the researcher means that it can be a way to enhance the ability to better understand three-dimensional work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ue to limited research subject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refore follow-up research will be required.
Ⅰ. 서론
Ⅱ. 초등학교 소조 교육의 현황과 분석
Ⅲ. 입체작품 이해 능력 신장 방안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