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술 전 안축장 구간에 따른 백내장수술 후 유효수정체위치 예측
Prediction of Effective Lens Position by Reference to the Preoperative Axial Length
- 김기현(Gee-Hyun Kim) 황웅주(Woong-Joo Whang) 김현승(Hyun-Seung Kim)
- 대한안과학회
- 대한안과학회지
-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3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3
- 308 - 314 (7 pages)
목적: 부분결합간섭검사로 측정되는 안구 생체계측치를 매개변수로 하는 백내장수술 후 유효수정체위치 예측 공식을 수술 전 안축장 구간별로 탐구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수술 전에 부분결합간섭검사를 시행하여 안축장;각막굴절력;전방깊이를 성공적으로 측정하였고;통상적인 백내장수술이 합병증 없이 이뤄진 736안을 후항적으로 선정;수술 전 안축장 1.0 mm 구간에 따라 7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수술 전 안축장;각막굴절력;전방깊이를 독립 매개변수로 하여 유효수정체위치를 예측하는 최적의 공식을 각 군에 따라 구해보았다. 결과: 수술 전 안축장이 22.0 mm에서 25.0 mm에 속하는 경우;각막굴절력이 유효수정체위치와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수술 전 안축장이 23.0 mm에서 26.0 mm에 속하는 경우;전방깊이가 유효수정체위치와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수술 전 안축장이 24.0 mm보다 짧고;26.0 mm보다 긴 경우;수술 전 안축장이 유효수정체위치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수술 전 안축장;전방깊이;각막굴절력 세 변수 모두를 고려한 선형 회귀 공식을 통해 대체로 유효수정체위치를 가장 적절하게 예측할 수 있었으나;각 군에 따라 공식의 형태는 변하였다. 결론: 백내장 술 후 유효수정체의 위치는 술 전 안축장의 길이가 25.0 mm 미만인 경우는 안축장과 각막굴절력;24.0 mm에서 26.0 mm인 경우는 안축장과 전방깊이;그리고 26.0 mm 이상인 경우는 특히 안축장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Purpose: We derived optimal formulae permitting effective lens position (ELP) for patients differing in terms of their preoperative axial lengths as revealed by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Methods: We included 736 eyes from 736 patients who underwent conventional cataract surgery at Yeouido St. Mary’s Hospital. The preoperative axial length (AL);corneal power (CP);and anterior chamber depth (ACD) measured via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serv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ELP prediction. The 736 eye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differing by 1.0-mm intervals in terms of the preoperative axial length. We sought correlation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ELP;and defined the combinations that best predicted the ELPs of the seven groups. Results: The CP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ELP for eyes with AL between 22.0 and 25.0 mm (all p < 0.01) and the ACD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ELP for eyes with AL between 23.0 and 26.0 mm (all p < 0.01). Although a regression equation featuring all of the AL;ACD;and CP best predicted the ELP for the total of 736 eyes (p < 0.001);the optimal combination varied by the preoperative AL. Conclusions: The effects of CP;ACD;and AL on ELP vary by the preoperative AL. The optimal combination of preoperative variables predicting ELP thus varies as that parameter changes.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