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적: 마이봄샘 기능부전을 포함한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펄스광선 치료(intense pulsed light;IPL)를 시행한 후 안구건조증에 대한 임상적 분석을 통해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마이봄샘 기능부전으로 진단된 환자 62명 124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는 3주 간격으로 3차례의 IPL을 치료받았으며;치료 전과 3주 간격의 시간에 따른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MGE);Meibomian gland secretion score (MGS);눈물띠검사(TMH);비침습적 눈물막파괴시간(noninvasive break-time;NIBUT);플루오레신 각막염색 점수(Oxford scale);환자의 증상(Ocular Surface Diseases Index [OSDI];주관적인 증상 개선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IPL 치료 후 마이봄샘 기능관련 지표(MGE;MGS);안구 표면 관련 지표(NIBUT;Oxford scale);안구건조 증상(OSDI score;주관적인 증상 개선 정도)은 치료 전과 비교하여 IPL 1차 후;IPL 3차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모두 p<0.05). 하지만 눈물띠검사는 IPL 치료 전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마이봄샘 기능부전을 가진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IPL 치료는 눈물막을 안정시키고;마이봄샘 기능 이상 및 주관적인 증상을 개선시키므로 안구건조증의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intense pulsed light (IPL)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wit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or 124 eyes of 62 patients with dry eye with MGD who underwent 3 IPL sessions at 3 week intervals. All patients underwent clinical examination before and during treatment as well as 3 weeks after the last treatment. Measured parameters include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MGE);Meibomian gland secretion (MGS) score;tear meniscus height (TMH);noninvasive break-time (NIBUT);corneal staining score (Oxford scale);Ocular Surface Diseases Index (OSDI);and subjective ocular discomfort improvement. Results: Meibomian gland function (MGE;MGS);ocular surface parameters (NIBUT;Oxford scale) and dry eye symptom (OSDI;subjective ocular discomfort improvement) of pati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rom baseline to after the 1st IPL;and the 3rd IPL weeks (p < 0.05 for all). However;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MH was observed.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IPL was a useful and effective treatment in patients of dry eye with MGD to stabilizes the tear film and improve meibomian gland function and ocular symptoms.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0)
- 안와에 발생한 낭성 고립성 섬유종
- 난치성 후부공막염에서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효과
- 경증 건성안증후군에서 눈물막 삼투압의 임상적 유용성
- 접촉 맥락막박리와 장액망막박리를 동반한 감염공막염
- 제1형 및 2형 맥락막신생혈관에서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진단적 유용성
- 베스트병으로 진단된 국내 환자의 특성과 임상경과
- 반복적인 전층각막이식실패 환자에서 데스메막박리 자동 각막내피층판이식술을 시행한 1예
- 소아에서 발견된 일차 수정체낭종 1예
-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에서 뇌자기공명영상으로 확인한 측두동맥염
-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단안 원발급성폐쇄각발작 후 망막모세혈관분포 분석
- 섬유주절제술과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초음파수정체유화술의 수술 결과 비교
- 안장 위 수막종의 시신경 침범 환자에서 나타난자발적인 시력회복 1예
- 수술 전 안축장 구간에 따른 백내장수술 후 유효수정체위치 예측
- 인공수정체 종류에 따른 저간섭성 반사계의 도수 공식 정확성 비교
- 토끼에서의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한 망막 및 맥락막두께 분석
- 마이봄샘 기능부전을 동반한 안구건조증 환자에 대한 펄스광선 치료의 임상효과
- 대동맥판막치환술 후 발생한 푸르처 유사 망막병증
- 내경계막절편술 및 삽입술을 이용한 황반원공수술의 장기 임상결과
- 유리체가 전방을 채운 난치성 녹내장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시행한 섬유주절제술의 임상경과
- 중뇌주변부 뇌조의 지주막하출혈로 인한 시각로 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