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논낭밑마취 후 발생한 결막의 화농육아종 1예
Conjunctival Pyogenic Granuloma after Sub-tenon’s Block
- 이승현(Seung Hyeun Lee) 김경우(Kyoung Woo Kim) 전연숙(Yeoun Sook Chun)
- 대한안과학회
- 대한안과학회지
-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4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4
- 566 - 570 (5 pages)
목적: 백내장수술 중 시행한 하이측부 결막의 테논낭밑마취 후 발생한 결막 화농육아종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노년백내장, 당뇨망막병증 및 원발개방각녹내장으로 진단받고 티몰롤/타플루프로스트 복합제제 및 브리모니딘 안약 점안중이던 74세 남자 환자가 우안 하이측부 결막에 테논낭밑마취 후 백내장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중 특이 사항은 없었다. 수술 후 통상적인 치료로 목시플록사신, 1% 프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 및 0.1% 브롬페낙 나트륨 수화물을 1달간 점안하였다. 수술 1달 후 테논낭밑마취 시행 부위인 하이측 결막에서 자라나오는 분홍빛 타원형의 육아종성 종괴가 발생하였다. 이에 종괴의 절제 없이 덱사메타손 함유 항생제 안약을 투약하였으며 2주 후 종괴의 크기는 현저히 줄어들었고, 6주 후 종괴는 완전히 사라졌다. 결론: 테논낭밑마취 후 시행한 백내장수술 후 결막 화농육아종이 생길 수 있음을 환자에게 설명해야 하며, 화농육아종의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경과 관찰 시 마취 부위 확인, 안약 점안의 순응도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스테로이드 약물만으로도 성공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conjunctival pyogenic granuloma that developed after sub-Tenon’s block at the inferotemporal conjunctival quadrant during cataract surgery. Case summary: A 74-year-old male patient with senile cataract, diabetic retinopathy and open-angle glaucoma, who was using a combination of timolol/tafluprost and brimonidine eyedrops, underwent uneventful cataract surgery after sub-Tenon’s block at the inferotemporal conjunctival quadrant of his right eye. Moxifloxacin, 1% prednisolone acetate and 0.1% bromfenac sodium hydrate were administered daily for 1 month post-surgery, by which time a pink-colored, oval-shaped granulomatous mass had developed on the inferotemporal conjunctiva, at the site of the sub-Tenon’s block. Dexamethasone and antibiotic combination eye drops were administered without resection of the mass, which had markedly regressed after 2 weeks and disappeared completely 6 weeks after treatment. Conclusions: Patients should be informed of the possibility of conjunctival pyogenic granuloma prior to cataract surgery using sub-Tenon’s block, and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check the block site and compliance with eyedrops at follow-up visits. Conjunctival pyogenic granuloma can be successfully treated with topical steroids.
증례보고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