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544.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트라보프로스트 0.003% 제제의 효과 및 안전성

Effect and Safety of Travoprost 0.003% in Open Angle Glaucoma

  • 5

목적: 트라보프로스트 0.003%가 트라보프라스트 0.004%와 비교하여 동등한 안압하강 효과를 가지면서 부작용을 줄여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개방각녹내장으로 트라보프로스트 0.004%를 단독 점안 중인 환자 102명을 대상으로 트라보프로스트 0.003%로 교체하여 점안하였다. 트라보프로스트 0.003%로 교체 전과 교체 3개월 후에 안압과 결막충혈정도, 각막미란 정도, 눈주위 색소침착 정도를 기록하였고, 환자가 느끼는 부작용을 비교하기 위해 충혈, 따가운 느낌, 가려움, 자극감, 시야흐림, 건조감, 이물감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결과: 트라보프로스트 0.003% 교체 전과 후의 안압은 12.95 ± 4.25 mmHg, 12.94 ± 3.89 mmHg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0.974), 각막미란 정도와 눈주위 색소침착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결막충혈 정도는 교체 전 1.60 ± 0.88에서 교체 후 1.36 ± 0.84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설문조사 결과 환자가 느끼는 부작용의 정도는 충혈, 따가운 느낌, 가려움, 자극감, 이물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야흐림, 건조감은 점안제 교체 후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p=0.008, p=0.007). 결론: 트라보프로스트 0.003%는 트라보프로스트 0.004%와 동등한 안압하강 효과를 보이며 충혈의 정도를 감소시키고 시야흐림, 건조감의 주관적인 증상 호전을 보여 효과 및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determine whether travoprost 0.003% has a similar intraocular pressure (IOP) reduction effect to that of travoprost 0.004% while reducing side effects.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study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8 that included 102 patients diagnosed with open angle glaucoma who switched from travoprost 0.004% to travoprost 0.003%.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IOP, conjunctival hyperemia, corneal erosion, and eyelid pigmentation before and at 3 months after switching to travoprost 0.003%. Additionally,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se patients was conducted to determine possible side effects, including hyperemia, stinging, pruritus, irritation, blurred vision, dryness, and foreign body sensation. Results: IOP readings before and after switching to travoprost 0.003% were 12.95 ± 4.25 and 12.94 ± 3.89 mmHg,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change (p = 0.974). No changes were observed in corneal erosion or eyelid pigmentation; however, conjunctival hyperemia was reduced significantly from 1.60 ± 0.88 to 1.36 ± 0.84 (p = 0.001). No significant changes in hyperemia, stinging, pruritus, irritation, or foreign body sensation were reported; however,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noted for blurred vision and dryness (p = 0.008, p = 0.007, respectively). Conclusions: We were able to show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ravoprost 0.003% as being as effective as travoprost 0.004% in reducing IOP and injections while improving blurred vision and dryness.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