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552.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조업 분야 에너지절약시설 투자에 대한 에너지 절감효과 분석

The Effects of Manufacturing Firms’ Investment on Energy Saving Facilities on Energy Savings in Korea

DOI : 10.37727/jkdas.2021.23.2.661
  • 55

본 연구는 2013~2016년 한국신용평가원의 기업자료와 한국에너지관리공단의 에너지 사용량 자료를 사용하여 제조업에서 에너지절약시설에 대한 투자가 에너지 절감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위수 회귀모형을 통해 추정하였다. 에너지절약시설에 대한 투자가 에너지 절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리라는 예상에는 큰 이견이 없을 것이나, 이미 일정 수준의 에너지 절감을 달성한 기업의 경우에는 추가적인 시설 투자를 하더라도 에너지 절약 효과가 체감할 수 있다는 점은 아직 국내에서 실증적으로 확인된 바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절약시설 투자의 수확체감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관련 주제를 분야의 학문적 빈틈을 메우자고 한다. 경제학적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조건부 평균을 추정하는 전통적인 회귀모형에서 벗어나, 분위수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에너지 절감량 분위수에 따른 에너지절약시설 투자효과를 차별적으로 추정한다. 추정 결과, 우리나라 제조업 기업들의 에너지 절감량은 기업의 특성이 유사하다면 절감량이 높은 기업군일수록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에 대한 영향이 적었으나, 에너지 절감량이 낮은 기업군일수록 투자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에너지 절감량에 따라 기업에게 차등적인 지원기준을 제시하여 에너지 절약의 노력이 계속될 수 있도록 정책적 에너지절감량 달성목표를 기업별로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We apply a quantile regression model to shed light on the effect of energy-saving facilities investment on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2013~2016 Corporation dataset from KisValue of NICE Investors Service and Energy Consumption Survey Data from Korea Energy Agency. There is little doubt on the role of the investment in efficiently reducing the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without loss in production.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literature of empirical studies about diminishing return on the marginal investment for energy saving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present study fills the gap by documenting the law of diminishing returns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for the investment in energy saving facilities. To achieve the economic purpose, we the effect of the investment by differentiating the group in terms of a quantile of energy savings, instead of resorting to linear models. We find that firms with high energy saving have lower marginal returns of the investment on the facilities, whereas firms with low energy saving tend to show higher marginal returns on those investm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ovide a reasonable political system to save energy for the firm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by differentiating the level of goals considering the level of energy savings and other variables.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론

4. 사용자료

5. 분석결과

6.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