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15.jpg
KCI등재 학술저널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식품표시 소비자 이용 활성화 방안 모색

Seeking Activation Strategy for Consumer Food Label Use

DOI : 10.38115/asgba.2021.18.2.224
  • 147

본 연구에서는 2013년과 2018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소비자의 식품표시 확인수준과 영향 요인의 변화를 점검하고, 광범위한 소비자 요구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식품표시 소비자이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표시 확인수준은 2013년 평균 3.20점, 2018년에는 평균 2.85점으로 2013년에 비해 낮아졌으며,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식품표시확인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2013년과 2018년 모두 성별, 교육수준, 연령, 직업, 월평균 총소득, 동·읍면, 주거형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2013년과 2018년 식품표시 확인에 영향을 주는 공통적인 요인은 성별, 교육수준, 직업, 건강관심도로 나타났다. 셋째, 제조연월일과 원산지가 식품선택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나타났고, 식품표시 위치는 일정하게 지정된 면을 가장 선호했다. 넷째, 소비자들의 식품표시 이용을 어렵게 하는 요인은 작은 면적에 많은 내용이 표시되어 복잡하고, 글씨가 작아 읽기 힘들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식품표시를 잘 활용하기 위해 방송매체 홍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data from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in 2013 and 2018 to examine the level Korean consumers check labels and changes in its influence and try to find a way to activate consumers using effective food labeling through a wide range of consumer needs surve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they checked food labels in 2013 was an average of 3.2 point and lowered to 2.85 points in 2018. The results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food labeling identification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education, age, occupation, average monthly income, location, and housing type for both 2013 and 2018. Second, the common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food label identification in 2013 and 2018 were gender,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interest in health. Third,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food selection were manufacture data and country of origin, as for the food labeling location, uniformly designated were preferred. Lastly, the most prominent opinion, on what factors make food labels difficult for consumers to use, was that there is a lot of information packed into a small area and in small letters making it hard to read.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1

Ⅳ. 연구2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