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죄 두려움의 개념정의와 척도에 대한 검토
A Study focus on definition and measures of fear of crime
- 노성호(Sung-Ho, Noh) 신소라(So-Ra, Shin)
- 한국범죄심리학회
- 한국범죄심리연구
- 제16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2
- 67 - 84 (18 pages)
이 연구는 기존의 범죄 두려움의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여겨졌던 범죄두려움 개념의 측정과 분석에 대해서 선행연구와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서 점검하고 가장 적절한 범죄두려움의 개념을 만들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로 일반적 두려움의 측정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아닌 막연한 공포와 걱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개념적으로도 잘못 정의되어 있으며 측정에도 당사자의 상황과 연결 시킬수 있는 구체적 문항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로, 범죄 두려움을 측정할 때는 일반적 두려움보다 구체적 두려움을 측정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 이는 첫 번째에서 언급하였듯이 일반적 두려움은 범죄가 아닌 일상 전반의 염려를 나타내는 경향이 강하여 범죄두려움의 원인요인들과의 설명력도 낮게 나타난다. 범죄 두려움에 대한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범죄 두려움을 낮추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개념의 정의와 측정이 좀 더 구체화, 명확화 되어야 하는 것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연구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concept of fear of crime. The study examines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fear of crime concept, which was considered relatively neglected in previous studies, through prior research and analysis of data.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of all, the measure of general fear of crime represents vague fear and concern, not fear of crime. The measurement of fear also requires specific questions that can be linked to situations in which one may be harmed, and the concepts included in the question are abstract. Second, it is more appropriate to measure specific fears than general fears when measuring fear of crime. As mentioned earlier, general fears tend to represent concerns in daily life, not in specific crime, and are less correlated with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m. The ultimate goal of the study of fear of crime is to lower fear of cri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t is a study that must be done that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the concept should be more specific and clear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1. 서론
2. 이론적 논의 및 기존 연구결과 검토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4. 분석결과 및 해석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