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전통제례인 이순신 장군 독제(纛祭)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연콘텐츠의 기획 방안에 관한 글이다. 문화다양성 시대에 한국문화의 고유한 개성을 토대로 한 문화콘텐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전통문화 가운데 의례에 기초한 문회콘텐츠들이 끊임없이 발굴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전통문화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더욱 높여준다. 전통의례의 공연콘텐츠화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소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문화적 자산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옛것이라고 진부하게 여기는 세태 속에서 옛것이야말로 새롭고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이 시대의 새로운 콘텐츠 방법론이 전통의례의 공연화이다. 전통의례는 단순한 의식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공연예술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 다루려고하는 독제는 악·가·무(樂·歌·舞)가 결합된 개성 있는 한국문화이자 동아시아 최고의 종합예술문화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독제 제사의례의 공연화를 통해서 한국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동시에 이를 활용한 새로운 공연콘텐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전통의례의 공연콘텐츠 기획 방안으로 원형 복원을 통한 재현 공연과 원형 모티프를 활용한 창작 공연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원형 복원을 통한 재현 공연은 공간이 가진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원형 모티프를 활용한 창작 공연화는 현대적이고도 대주적인 특성을 지닌 요소로 각색하여 전통의례의 공연이라는 새로운 장르 개척과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를 두었다.
1. 머리말
2. 독제의 제사의례 분석
3. 제사의례의 공연콘텐츠로서의 가치와 특성
4. 이충무공 ‘독제’의 공연화 방안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