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중음악 또는 가수의 해외진출은 음악 산업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운명적인 결과였다. 디지털시대로 접어들며 국내 음악시장의 한계와 음반 산업의 침체가 심화되어 해외진출은 필연적인 선택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이러한 해외진출 붐은 한류가 시작되며 한국 TV드라마의 인기가 한국 스타, 한국 음악에 대한 인기로 번졌고, 1998년 H.O.T의 중국 음반이 발매되며 한국 대중음악의 중화권 진출로 이어졌다. 이후 2001년 SM엔터테인먼트의 보아가 일본에서 데뷔하여 성공을 거두면서 너도 나도 해외진출을 목표로 삼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한국 음악과 가수의 해외진출 붐은 거품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2000년대 들어서며 많은 연예기획사의 코스닥 상장 붐이 일었고, 이후 해외진출 계획을 발표하며 기대치를 만들었지만 수년이 지난 지금까지 별다른 성과를 못 내고 있을 뿐 아니라 대부분 데뷔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을 볼 때 한류를 통한 한국 음악의 해외진출의 경우 내적·외적 환경을 고려해야 한 것인데, 현지 문화의 이해와 진출 전략이 선행되고, 각 나라별 수준에 맞춘 음악, 외모, 언어 등이 요구된다. 또한 일방적 문화전달의 한계를 깨닫고 정책적, 산엽적 문화교류의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의 대중문화 특히 음악 산업은 한류와 코스닥 상장 붐을 겪으며 디지털 시대로 지나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정체되어 있는 현실이다. 이에 법체계와 문화 그리고 수용자 층이 다른 나라로 진출하고자 시간과 돈을 낭비하는 것은 아닌지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The expected, but sudden and rapid, evolution into a new era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ignited both K-pop (Korean popular music) and related entertainment businesses to follow a natural progression towards overseas markets. This new, digital era s sudden attack has heavily affected the entir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 a result, the industry has to consider advances into the international market due to the serious recession of the domestic market, most norably in album sales. This booming, or massive expansion of the foreign markets influence on domestic entertainment, has acted as the engine of change for the industry with regards to Korean singers, soap operas, and the K-pop genr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O.T. and the don into China s markets in 1998 as well as BoA, with SM entertainment, who has had hits in Japan s pop charts, this spreading of Korean pop culture abroad has led to a movement known as Han-Ryu or Han Wave . Since then, many Korean entertainment firms have announced plans and strategies pertaining to expansion into foreign markets. One such example is that many firms added their corporate names to the KOSDAQ (Korean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in 2000. However, none of them have shown impressive results and some of them could not even make a successful debut record within the domestic pop charts until recently.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arget country s culture, specific knowledge of its sryle of music, preferred pop star image, and dominant language are essential to setting up a well-ordered strategy aimed at entering foreign markets. I think it is time for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to do a self-examination regarding whether they are willing to consider and stud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influences or not. Additionally, it is time to try to find a new concept driven approach and other appropriate ways to further develop the entertainment business: i.e., we should also try to incorporate into our expanding culrural exchanges political and industrial based concepts. Currently, Korean pop culture is facing stagnation as it goes through the transition period from navigating growth in a stock-listed based market into the digital era. We should seriously ask ourselves about the necessity of adapting to a booming expansion that requires the difficult task of overcoming completely different law systems, cultural backgrounds, and consumer demands.
1. 들어가는 말
2.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동향
3. 기획사별 해외진출 사례와 전략
4. 해외진출 전략 분석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