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23.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상 콘텐츠에서의 공간 모티프 활용 연구

A Study on use of space motif in visual image contents

  • 10

영상콘텐츠의 기획은 여러 가지 모티프에서 시작될 수 있다. 특정한 캐릭터나 흥미로운 플롯일 수도 있으며, 새로운 관점의 주제 의식일 수도 있다. 그리고 여기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바로 공간적 모티프이다. 최근 영상콘텐츠의 트렌드에서도 공간은 특정 장르를 형성할 만큼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콘텐츠에 나타나는 주요 공간적 모티프들을 스토리 밸류의 성격에 따라 각각 분류하고 분석해본다. 첫째 보편성에 근거한 공간 모티프는 인간의 보편적인 삶이나 본원적인 욕구 등과 연결되며, 대중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공간들을 말한다. 인간의 생로병사가 축약적으로 담기는 병원이라든가 학교, 자연 공간, 음식 공간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둘째 특수성에 근거한 공간 모티프는 이와 반대로 보편적 경험의 결핍이 촉발하는 욕망에 근거하며, 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공간들이다. 다양한 전문직의 세계라든가 해외 공간, 가상의 공간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우리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 영상콘텐츠의 기획에 있어서 효과적인 공간 모티프를 설정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우리는 공간적 구조 분석에 관한 이론들을 연구해 볼 것인데, 이를 통해 영상콘텐츠에서 공간적 모티프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접근해보고자 한다. 우리는 주로 본질적으로 공간적이 아닌 의미론적·가치론적 체계들을 공간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로트만의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겠다. 그리고 개별 영상 콘텐츠의 사례를 통해 공간의 구성에 관한 방법론을 보다 구체적으로 모색해볼 것이다. 영상 콘텐츠의 기획에서 트렌드적인 공간 모티프의 설정만으로는 더 이상 흥행이 보증될 수 없다. 대중에게 호응할 수 있는 공간 모티프의 설정과 체계적인 공간구성 양면이 더불어 이루어질 때에야 영상 콘텐츠는 비로소 완결성을 갖추게 된다.

Planning of visual image contents can begin in various motifS. It can be special character or interesting plot and main subject of new concepts. And space motif can be included here. Recently, in visual image contents, space influence a lot to be a genre itself. In this study, we classified and analyzed major space motif according to character of story value. First, the space motif based on universality is connected to universal life or natural desire of human beings as giving sympathy to public. The hospitals that imply human birth, suffer, illness and death, or schools, and nature space are these. Second, the space motif based on characteristics is encouraging curiosiry of public, based on desires motivated from lack of universal experiences. World of various occupations, overseas space, and virtual space are these. Next, we are going to study on the theories of analysis of space structure. we can approach to the issue how we can arrange and utilize the space motif by this. we introduced Lotman s theory that showed the possibiliry of spatial modelling the concepts which are not space originally, so to speak, semantics, axiology system. We researched methodology of lay out and organization of space motif by analyzing the examples of movie and drama contents. With only the trendy space motif in visual image contents plan, the performance can not be guaranteed to be popular any more. There should be space motif that people can sympathize and consistent organization of space to have completion of visual image contents.

1. 서론

2. 공간 모티프와 스토리 밸류(story value)

3. 공간의 구성 방법론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