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23.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콘텐츠학과 글로컬문화

Cultural contents and Glocal culture

  • 119

대중문화에서 ‘글로컬(glocal)’이란 개념이 매우 중요해졌다. 포괄적 의미로 글로컬은 세계와 지역의 상호 소통을 말한다. 곧 세계적인 것이 지역적 요소들에 따라 수정되는 상황,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 요소들에 맞춰져 세계적으로 되는 상황이다. 이는 글로벌 회사들이 지역 상황에 맞춰 전략과 행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지역 생산자들이 세계적 요소들에 맞춰 전략과 행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 글로컬 개념에는 세가지 심층적인 면이 있다. 첫 번째는 전래의 단순 이분법적 논리(세계 ↔ 지역이라는 면에서)를 허물고 있다는 면, 두 번째는 일방적인 세계화(통상 경제적인 변에서 사용되는)에 대한 대안이라는 면, 세 번째는 프랑크푸르트학파(특히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문화산업 비판 논리를 나름대로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결국 문화콘텐츠산업에서 글로컬은 중심 키워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글로컬은 각 나라가 자국의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어 하나의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현재 통용되는 세계적 주류대중문화를 글로컬문화로 이해할 때, 다시 말해 특정 지역의 글로컬 대중문화가 세계적 인기를 얻어 세계적 주류 대중문화가 되었다고 할 때, 비주류에 속하는 여러 나라의 문화들도 대중문화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notion glocal has become prominent in mass-culture industry recently. The notion indicates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the global and the local, which means that global elements are modified by local elements, and at the same time, local elements are modified by global elements. This is shown, for example, in cases where the strategies of a global company are often altered by local situations when it enters a local market. It is also shown in the opposite situation - that is, in cases where local actors actively change their strategies to become global, employing some global elements. This is only one facet of the glocal. In fact, there seems to be three deeper aspects about this notion. Firstly, the glocal is demolishing the old-fashioned dualistic model (global ↔ local). Secondly, the glocal could be an alternative for globalisation (obviously, in the economic sense). Thirdly, Frankfurt School s solid argument against mass-culture industry especially, those of Adorno and Horkheimer - does not work anymore when we consider the notion of glocal.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the notion glocal is a power source for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glocal could be a theoretical foundation to guide us about how to develop a nation s cultural industry and effectively research cultural contents. Further, when the global mainstream mass-culture is understood as glocal culture, namely, it is something that has been modified and popularised by local culture, many types of non-mainstream mass-culture could have an opportunity to become more popular.

1. 서언

2. 전체와 부분, 보편과 개별, 절대와 상대를 넘어서

3. 세계화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글로컬라이제이션

4. 글로컬 대중문화 시대의 도래

5. 결어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