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데이터를 사용한 다이어트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Diet Perception Using Big Data: Focusing on Portal Sites and Journals in 2010, 2015, and 2019
- 한국식공간학회
- 식공간융합연구
- 식공간연구 16권 1호
- : KCI등재후보
- 2021.04
- 37 - 59 (23 pages)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이어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2005년, 2010년, 2019년으로 구분한 후, 다이어트에 대한 일반적 인식 및 학술적 인식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다이어트와 관련된 키워드는 5년마다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인식과 학술적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 인식에서는 다이어트 인식에 대한 키워드의 변화가 크고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은 다이어트와 관련한 일상생활 용어들이 출현하였고, 2015년에는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용어들 및 배송식품, 광고 관련 단어가 출현하였다. 2019년에는 커뮤니티와 다이어트 이슈와 연관된 단어들이 출현하였다. 특히 2010년에서 2015년으로의 변화보다 2015년에서 2019년으로의 변화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이어트가 더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인식도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었다. 그러나 학술적 인식의 경우에는 연도에 따른 변화가 일반적 인식에 비해 크지 않았다. 약 15년에 걸쳐 출현하는 키워드가 비슷했으며, 다이어트 연구와 관련된 콘텐츠나 마케팅 분야에서만 다소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일반적 인식에 비해 학술적 인식이 다이어트 인식의 변화 속도와 방향에서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이어트 연구에서 실제적인 다이어트 인식에 대한 변화를 고려하여 좀 더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연구가 시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s in perception of diet by using big data. In this regard, general and academic perceptions of diet were compared after categorized into 2005, 2010 and 2019. Analysis shows that keywords related to diet have changed every five year, bu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general and academic perception. In general perception, the keyword for diet varied and also changed greatly. In 2010, daily use of terms related to diet appeared, while more specific and specialized terms and words related to food delivery and advertisements were identified in 2015. In 2019, words related to community and diet issues emerged. In particular, changes from 2015 to 2019 were greater than from 2010 to 2015. The use of the term “diet” became more popular and the perception was expanding in various ways. However, the changes over the years were not as great as those of general perception in the case of academic perception. Similar keyword appeared over 15 years, and more or less changes were found only in the content and marketing fields related to diet research. In conclusion, academic perception was progressing very slowly in the speed and direction of changes compared to general percept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ore realistic and effect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actual diet perception in diet researc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