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외교의 한 부문으로서의 문화 외교는 한국 내 공공 외교의 일반적 접근 전략으로통용되고 있다. 문화 외교는 대중매체, 음악, 영화, 미술, 정보 등을 통해 외교 대상국의 일반 국민들에게 긍정적 행태와 인식을 형성시켜 국가 간 상호이해와 우호적 협력관계를증진시키는 수단으로 정의하고 있다. 국내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한국 대중문화의 확산과영향을 아시아와 유럽 등의 지역에 집중하고 있어,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연구는 한정적이다. 본 연구는 2016년 탄자니아에서 진행된 한국 대중문화의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두 가지 연구 질문 즉 어떻게 한국의 대중문화가 한국 이미지에 대한 탄자니아 국민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쳤는가? 그리고 한국 이미지가 탄자니아 국민들의 한국 제품 소비 행태와 한국 관광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한국 대중 문화, 한국 이미지, 한국 제품 소비행태, 그리고 한국 관광에 대한 인식 등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최소자승 회귀모형(OLS regression model)을 활용하여 한국의 대중문화와 국가 이미지의 긍정적 연관성이 탄자니아 국민들의 한국 상품과 한국 관광에 대한 인식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양국 간의 경제적 효과와 우호적 협력관계 구축을 기대하고 있다. 또한 한국 대중문화 확산에 의한 효과가 분명한 상황에서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에서도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전략으로 고려 평가하고 있다.
One of the associate of public diplomacy, so-called ‘cultural diplomacy’ has been widely recognized in Korea. Cultural diplomacy is the way to attract the attitudes and opinions of peoples in other nations through drama, music, art, films, information and ideas. While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expansion and the effect thereof of Korean cultural products in Asia and Europe, few studies exist with regard to Africa. This study uses a 2017 survey conducted in Tanzania on the spread of Korean Popular Culture—Korean Wave (Hallyu). It raises two core questions: (1) How does Korean popular culture influence the opiniopn of Tanzanian toward Korean Image? and (2) How does Tanzanian people’s perception of Korea’s image througe Korean wave influence their decisions of purchasing Korean products as well as their willingness to visit to or live in Korea? Having used OLS regression model, the study find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Korean popular culture and Korean image, which in turn becoming positive driving force to influence Tanzanians’ attitude towards Korean products. With these results, the study draw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hat could be of interest in establishing a new direction to further improve Korean cultural influence in Tanzania and to promote the Korean tourism industry as well as strengthen economic relations with Tanzania and other African countries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Analysi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Culture, National image, Purchasing tendency, and Tourism
Ⅲ. The effect of the Korean wave in Tanzania
Ⅳ.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wave in Tanzania
Ⅴ. Discus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