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뮬레이션의 상황설정을 통한 멀티플렉스 실내영화관에서의 피난형태 분석연구
An Analytic Study on the Forms of Evacuation in an Indoor Multiplex Theater through Simulation-Based Situation Setting
- 정상필(Sang-Pil Jung) 김진욱(Jin-Wook Kim)
- 한국셉테드학회
- 한국셉테드학회지
- 제11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2
- 259 - 287 (29 pages)
본 연구는 멀티플렉스 특징인 좌석이라는 영역적 범위 그리고 공간적 한계에서의 피난실험을 시뮬레이션에 의존한 자유피난과 설정을 통한 혼란한 상황을 연출하였다. 이를 통해 자유피난의 경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최종 목적지를 인지하고 있음에 따라 다수의 출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곳의 출구로 몰려드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혼란한 상황을 연출한 피난의 경우 앞서 진행한 자유피난보다 46초 더 소요됨과 동시에 병목 현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수의 출구를 이용한 혼란한 상황 연출 실험에서는 상영관을 빠져나온 이후 홀에서 부터는 완화된 피난형태를 보였다. 두 실험의 상관관계는 모두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회귀분석의 경우 혼란한 연출실험은 상영관에서 홀까지의 피난은 낮은 적합도를 나타냈으나, 홀에서 피난출구까지는 높은 적합도를 나타냈다. 이는 결과적으로 자유피난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순차적 피난이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과 같다.
In this study, simulation-based free evacuation and chaotic situation were set for evacuation experiments within the territorial domain and spatial limit of seat, which is a feature of multiplex. The experiment result showed that under the free evacuation situation, the subjects crowded into one exit even though there were many exits, since the simulation program already recognized the final destination, and under the simulated chaotic situation, it took 46 seconds longer to evacuate than the previous free evacuation and bottleneck locations were identified. However, during the experiment using many exits under the simulated chaotic situation, the form of evacuation improved from the hall after the subjects got out of the theater.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experiments. Also,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the evacuation from the theater to the hall had a low suitability, whereas the evacuation from the hall to the exit had a high suitability. This implies that as shown in the free evacuation experiment, sequential evacuation is required.
Ⅰ. 서 론
Ⅱ. 시뮬레이션 개요
Ⅲ. 피난 시뮬레이션 실험
Ⅳ. 피난형태 분석
Ⅴ. 결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