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37.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중화장실 범죄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Crime Prevention in Public Toilets

  • 124

최근 범죄예방을 위한 시설로 비상벨이나 CCTV 등을 주로 설치하고 있으나 범죄발생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어 범죄예방을 위한 방법들이 종합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중화장실에서 범죄예방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올릴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함으로써 이를 기준으로 안심공중화장실을 확대하여 안전한 사회를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중화장실에 대한 선행연구 및 보고서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필요조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범죄이론을 기반으로 범죄예방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내용을 외부공간, 경계부, 내부공용공간, 개별부스, 공통설비 등 5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범죄예방을 위한 세부항목들로 정리함으로써 안심공중화장실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공중화장실에서 범죄예방을 위해 조치해야 할 내용들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됨으로써 체계적인 점검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기본적인 안심화장실의 시설기준이 될 수 있다.

Although emergency bells and CCTV have been recently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facilities for crime prevention, more specific measures for it should be comprehensively reviewed, since there are a variety of factors causing cr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hecklist for effective crime prevention in public toilets and promote safe society by extending safe public toilets, based on the checklist. It summarized some prerequisite for people to safely use public toilets, from previous studies and reports on them and drew some measures related with crime prevention activities based on crime theories. Then, it developed the checklist for safe public toilets, by dividing the measures into spatial areas and arranging sub-items for crime prevention by each area. The measures for crime prevention in public toilets are clearly arranged in the checklist, so systematic review is available, and it can be a basic facility criterion of safe toilets.

Ⅰ. 서 론

Ⅱ. 이론적고찰

Ⅲ.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한 영역구분과 범죄예방 착안점 도출

Ⅳ. 공중화장실 영역별 범죄예방 체크리스트 개발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