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강유역의 세형동검문화는 최근 여러 조사성과가 알려짐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 토대가 마련되고 있다. 혼강유역의 청동유물은 무덤 외의 매납이나 생활 유구에서 적지 않게 출토된다. 무덤에는 전통적인 석관묘나 개석묘는 물론 토광묘도 다수 보이는데, 토광묘는 만발발자 유적을 중심으로 한 통화 일대에만 집중되는 것이 특징이다. 매납유구에는 중원계통 청동유물이 출토되는 예가 많고, 생산·제사·보관 등의 여러 정황에서 조영되는 것이어서 정치적인 배경 외에 경제적인 배경 또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거지에서는 방제석검이나 화폐 등의 일부만이 확인된다. 혼강유역의 세형동검문화에서 ‘동검-동과-동모’의 청동무기와 다뉴동경 등이 확인되는 것은 정치체가 일정 수준으로 성장하였음을 보여준다. 다만 만발발자 유적 등의 통화 일대 유적들을 포함하더라도 청동유물의 종류와 수량이 한정되고 있어 현재로는 처음부터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볼 수 없다. 이른 시기(요동 1~2기)에는 혼강유역이 천산산맥 일대와 같은 문화권을 형성하여 두 지역 간의네트워크가 강화된다. 세형동검, 다뉴동경, 선형동부 등의 청동유물이나 점토대토기문화의 토기류가 주목된다. 이후 늦은 시기(요동 3~4기)에는 중국 군현이나 길림지역 및 연해주지역과 네트워크가 증대된다. 중원계통 유물들이 증가하고, 쌍조형병동검이나 재지적인 철제무기가 확인되며, 휘발하유역은 물론 두만강유역과 관련되는 토기류도 전해진다. 이는 고조선의 네트워크 하에 포함되어 있던 정치체가 점차 이탈하여 다변화된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독자적인 성장 전략을 추구했던 역사상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있다.
The foundations have been laid for research into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f the Hun River basin, as numerous study results have been made public. Bronze artifacts from the Hun River basin are often excavated from tombs, as well as buried or cached features and settlement contexts. The tombs include stone tombs as well as a number of pit tombs. One feature of the pit tomb is that it is concentrated in the Tonghua region centering around the Wanfabozi (萬發撥子) site. Of the buried or cached artifacts, Chinesestyle bronze artifacts are the most common found and are estimated to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roduction, ritual, and storage. Thus, their economic and political background should be considered. In dwelling features, only stone daggers made in imitation of bronze daggers and coins are found. The fact that bronze weapons such as the bronze dagger, the bronze halberd, and the bronze spearhead, as well as the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 were discovered in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f the Hun River basin shows that the political system reached a certain level of development. However, even if artifacts of the Tonghua region, such as the Wanfabozi site, are considered, both the type and number of bronze artifacts are limited. Thus, at present, it is not possible to say with confidence that the site took a central position within the culture. In the early period, the network between the two regions was strengthened by forming a cultural sphere encompassing areas such as the Tian Shan. Bronze artifacts such as the Slender Bronze Dagger,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 and the fan-typed bronze axe, as well as pottery of the attached-rim pottery culture, are noteworthy. In the later period, the network between the ancient Han Commanderies, Jilin and Primorie Krai increased. The frequency of Chinese-style artifacts increased; bronze daggers with birdpair- shaped pommel fittings or iron weapons were discovered; and pottert from the Huifa River to the Tumen River was unearthed. This may reflect the historical dissolution of the network of Gojoseon into distinct polities, which built a diversified network and pursued their own growth strategy.
Ⅰ. 머리말
Ⅱ. 혼강유역의 유적 분포와 만발발자 유적
Ⅲ. 청동유물 출토유구와 주요유물 분석
Ⅳ. 세형동검문화의 특징과 네트워크의 변천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