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49.jpg
KCI등재 학술저널

A Study on the Resilience of the Republic-of-Korea(ROK)-US Alliance in Post-Unipolar World

  • 6

본 논문은 미국의 외교정책이 다차원적 역량을 갖추고 있는 동맹국으로 하여금 미국의 지역 전략의 파트너로서 적극 기여할 것을 요구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안보위협에 직면해 기존 안보동맹이 지역적 범위를 확대하여 보다 더 적극적인 역할을하도록 요구 받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은 기존 동맹국들이 동맹기능을 확대하고 협력관계를다차원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도록 “역량과 상호운용성을 갖추고 신뢰할 만한 (capable, interoperable, and trustworthy)”한 파트너로서 기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미국의 방위비 절감 및 국내 경제적 불안정성, 악화일로에 있는 여론 등도 동맹정책의 변환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미 대선이후 한미동맹의 복원력 전망과 관련 미 동맹정책이 역량 중심적으로 진화해 왔음을 토대로 한국이 역량에 투자하고 얼마나 미국의 안보이익에 기여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This research represents an attempt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structural conditions which facilitate or retard the resilience of the ROK-US alliance. It sheds new light on the US’ renewed focus on deepening and expanding cooperation with ‘capable’ allies as a central feature of the US foreign policy at a time of wrenching geopolitical change and intensifying fiscal constraints. The US continues in its efforts to demonstrate its strong presence in the region and around the world, and is now fully poised to share burdens and responsibilities with its ‘capable’ allies. As a result of the junior ally’s enhanced capabilities to contribute to US security interests beyond the peninsula, the value of the ROK-US alliance has increased in the context of America’s foreign policy and security decisions toward the Asia-Pacific regio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more proactively South Korea engages in investing in the evolution of division of labor with the US, the more likely the ROK-US alliance is to remain resilient regardless of political change.

Ⅰ. Introduction

Ⅱ. Shifting Balance of Power, Uncertainty, and Alliance Resilience

Ⅲ. Changing Threats, Lessons Learned, and New Missions for Enduring Alliances

Ⅳ. Domestic Constraints and Foreign Policy-making

Ⅴ. Case Analysis

Ⅵ.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