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651.jpg
KCI등재 학술저널

6·25전쟁기 마오쩌둥(毛澤東)의 군사분계선 설정 전략

Mao Zedong’s strategy for establishi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during the Korean War

  • 21

본 연구는 정전협상 논의 초기 시기(1951. 6.∼10.)에 정전협정을 조기에 마무리 짓고자 했던 마오쩌둥이 왜 군사분계선 설정을 조기에 마무리 지을 수 없었는지를 시계열적으로 살펴서 그 함의를 찾는 데 있다. 연구는 6·25전쟁 기 중국, 소련 내부에서 정전협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던 1951년 6월 이후로부터, 마오쩌둥의 ‘분사분계선 설정’에 대한 마오쩌둥과 스탈린의 상회관계동학을 다루고 있다. 6·25전쟁 기 전쟁후원국으로서의 소련과 전쟁지원국으로서의 중국의 정치지도자들은 스탈린-마오쩌둥 간에 서열적 관계가 형성되었고, 정전협상 초기 군사분계선 설정 논의 시기에 이르러서 보다 전략적인 형태로 나타난 면이 있다. 마오쩌둥은 ‘정전협상 의제’를 결정하고, ‘군사분계선 설정’ 논의를 시작하면 빠른시일 내에 정전협정을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그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마오쩌둥은 순망치한(脣亡齒寒)이라는 지정학적 관점의 대(對)한반도관에 기초해서 최적의 군사분계선을 설정하고자 하는 한편, 미군 폭격에 의한 군사적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조기에 38도선을 중심으로 군사분계선을 설정하여 정전협정을 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스탈린의 세계전략이 맞물려 정전협상 타결이 지연되는 상황 속에서 ‘미군과의 접촉선을 중심으로 군사분계선을 설정하되 서부지역에서의 전략적 지역 등을 확보’하는 전략으로 우회하여, 스탈린의 의도를 따르되 지정학적 이점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적으로 조기정전 여건을 형성시키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Mao Zedong, who tried to close the armistice agreement early in the early period of discussions on the armistice negotiations (June-10, 1951), and why it was impossible to conclude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early. Have. Since June 1951, when discussions on armistice negotiations were held within North Korea, China, and the Soviet Union during the Korean War,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Mao Zedong agreed to’debate on establishing a divisional demarcation line’ and the dynamics of Mao Zedong and Stalin. Dealing with. During the Korean War, the Soviet Union as a supporter of the war, China as a supporter of the war, and North Korea’s political leaders, which were parties to the war, formed a hierarchical relationship ranging from Stalin-Mao Zedong-Kim Il-sung, and this was the result of the five times of the Chinese campaign. Unlike the period during which the campaign was performed (1950.10.~1951.5), there is a new aspect that emerg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armistice negotiations when the demarcation line was established. Mao Zedong thought that if the ‘Agenda for Armistice Negotiation’ was decided and the discussion on ‘Establishi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started, an armistice agreement could be concluded as soon as possible. However, the process was not smooth. On the other side, Mao Zedong’s China-centered military demarcation line overlooking the Korean Peninsula aims to establish an optimal military demarcation line from a geopolitical point of view on the Korean peninsula.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an armistice agreement. In a situation where the time to conclude the armistice negotiations is delayed due to the integration of Stalin’s global strategy,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is established around the contact line with the U.S. forces, but the strategy is to secure strategic areas in the western region. It follows Stalin’s intentions, but tries to create conditions for an early blackout internally.

Ⅰ. 서론: 문제제기

Ⅱ. 마오쩌둥의 대(對) 스탈린 관계와 한반도에 대한 인식

Ⅲ. 조기 정전을 위한 군사분계선 설정 논의

Ⅳ. 접촉선에 기초한 군사분계선 설정과 마오쩌둥의 지도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