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역대법보기(曆代法寶記)』에 나타난 내용을 고찰하여 선차(禪茶)의 연원에 대하여 조명하였다. 『역대법보기』는 초조 달마(達磨)부터 보당무주(保唐無住)에 이르는 사천지역의 선종사서(禪宗史書)이다. 일부 선행 연구에서는 『역대법보기』를 근거로 선차 문화의 연원이 정중무상(淨衆無相)과 보당무주로부터 시작되었음을 주장하여 재고찰하였다. 『역대법보기』에 나타난 선차에 대한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무주가 무상에게 차를 신물의 징표로 보냈다는 내용이다. 신물차(信物茶)를 받은 무상은 무주에게 선맥의 사법관계를 잇는 의물을 보냈다. 둘째, 무주가 막부의 낭관들과 차를 마시며 차가 정허를 이루게 하여 망념을 없애고, 밝은 본성이 비친다는 게송을 읊은 부분이다. 셋째, 무주가 승려들과 차를 마시며 일침으로 언어도단(言語道斷)의 심지법문을 하는 내용이다. 이상을 미루어 보았을 때 『역대법보기』에는 정중무상이 행한 직접적인 선차 기록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역대법보기』에는 무주를 중심으로 선차와 관련된 내용이 나타나지만, 이보다 이른 시기에 다양한 지역에서 선승과 음차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기 때문에 최초의 선차 연원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봉씨문견기』 「음차」조의 항마선사에 대한 기술과, 온주 용흥사 영가현각, 최초로 다도라는 표현을 한 교연선사 등의 시에서도 다양한 다사(茶事)를 실천하는 다선일미가 전해지고 있으므로, 『역대법보기』의 선차에 대한 내용이 선종사에서 최초라는 주장은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 of seoncha(禪茶)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Yeogdaebeobbogi(曆代法寶記)’. ’Yeogdaebeobbogi’ is a historical book of the Zen sect of Buddihsm(禪宗) which includes various records from Dharma to Bodangmuju(保唐無住). Several preceding research maintained that the idea of seoncha(禪茶) was originated from Jeongjungmusang based on the records from ’Yeogdaebeobbogi’.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tents of ‘Yeogdaebeobbogi’ to validate the theory of Bodangmuju as the origin of seoncha. The main records on seoncha in ‘Yeogdaebeobbogi’ were as follows : First, Muju sent tea to Musang as the symbol of sinmul(信物). In the response to the sinmulcha(信物茶), Musang sent clothing to Muju as the symbol of treating Muju as the dharma heir. Second, Muju sang Gatha that tea helps to clear delusions and find out true nature of human, while he was drinking tea with soldiers. Third, Muju preached Buddha’s teaching beyond words and intellection(言語道斷) to the monks, while drinking tea.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no direct record of Jeongjungmusang’s seoncha in ‘Yeogdaebeobbogi’. On the contrary, there were several records of seoncha related to Muju.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sider Muju as the origin of seoncha, since there were already many records of Zen masters and tea drinking appeared in various regions at a much earlier time. Those earlier records included the record on Hangma Master in ‘Bongssimungyeongi’, the earliest record of chadao in Gyoyeon’s poetry, etc.
Ⅰ. 서 론
Ⅱ. 정중무상과 사천선종의 관계
Ⅲ. 정중무상과 보당무주의 신물차(信物茶)와 전의설(傳衣說)
Ⅳ. 정중무상과 보당무주 선차 연원설의 한계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