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북한의 체제 성립기 주요 역사교과서의 문화 항목 서술의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화는 민족주의 또는 역사이론을 직접 다루지는 않지만, 문화의 대상과 서술양상은 특정시기의 역사인식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1950년대 전후 북학에서 문화유산들은 민족적 정체성과 연결되어 언급되었고, 계승 발전시켜야 할 가치 있는 존재로서 인식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역사교과서에도 반영되었다. 당시간행된 역사교과서들의 문화 항목은 긍정적 내용 위주로 서술되었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분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체계를 갖추어 갔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일단 『조선통사(상)』 (1956)에서 완비되었다. 역사교과서에서 문화에 포함하는 기준은 첫째로 과학적 지식이었다. 과학의 기준은 철저히 유럽의 근대 과학에 기반했을 뿐 아니라 유럽제국의 동아시아 침략을 비판하면서도 유럽과의접촉 및 이들을 통한 과학지식의 전래를 문화 발전의 중요한 요소로 서술하였다. 두 번째는인민의 자유와 행복에 이바지했는지 여부였다. 그런데 전근대 민중들의 지식 및 문화 향상은실증하기 매우 어려운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단정하는 경우가 빈번히나타났다. 1950년대 북한에서는 한국사의 성격 및 시기 구분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쟁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논쟁과는 다른 층위에서 역사교과서의 문화 항목은 민족이 공유해야 할 가치 있는요소들을 제공함으로써 민족적 정체성과 긍정성을 뒷받침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lture content of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Culture does not deal directly with nationalism or historical theory, but its objects and narrative aspects reveal historical perceptions at a particular time. Before and after the 1950s, cultural heritages were mentioned as national culture. And these were recognized at the time as worthy beings to inherit and develop. This trend was reflected in history textbooks. The culture content of historical textbooks published at that time gradually increased in quantity and established a system. This flow was completed in “Joseon Tongsa: vol.1”(1956). The first criterion that history textbooks include in culture was scientific knowledge. The standard of science was thoroughly based on modern European science. While criticizing the European Empire s invasion of East Asia, it also described contact with Europe and the transmission of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them as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 The second was whether it contributed to the freedom and happiness of the people. However, it has often been concluded that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and culture of pre-modern people may have influenced them even though they are very difficult areas to demonstrate. In the 1950s, various debates took place in North Korea ove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y. At a different level from this debate, culture content in history textbooks supported national identity and positivity by providing valuable elements for the people to share.
Ⅰ. 머리말
Ⅱ. 북한 체제 성립기 역사교육과 문화 인식
Ⅲ. 1950년대 전후 역사교과서의 문화 서술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