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반도의 분단과 통일

A Concept of Division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785
156656.jpg

‘통일에 대한 논의는 분단에서 출발한다.’는 분석은 대부분의 학자들이 공감하고 있다. 이 말의 의미는 통일은 분단의 문제를 극복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없다는 의미이며, 동시에 적극적 의미에서 통일이라는 긍정적 가치를 실현하는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분단과 통일에 대해 논하면서, 통일로 나아가는 이 시대의 한반도가 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 역사적 측면에서 분단은 국민의 분단, 영토의 분단, 주권의 분단으로 이루어졌고, 분단은 외적 원인과 내적 원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단의 책임을 외적 원인에만 돌리는 것은 운명론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고, 내적 원인을 보완하여 분단에 대한 민족의 책임과 역사적 주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통일은 분단시대의 통일 개념과 통일을 향한 전환기의 통일 개념과 통일 후의 통일 개념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통일이라는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도, 분단시대의 통일은 점령적 통일이고, 통일시대의 통일은 분단을 청산하고 민족이 하나로 회복하자는 통일이며, 통일 후의 통일은 정의로운 사회 구축에 방점이 있다. 분단과 통일에 대한 이해는 삶의 정황 속에서 통일 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discussion of reunification begins with division.’ The analysis is shared by most scholars. This means that unification cannot be achieved without overcoming the problems of division. At the same time, this means realizing the positive value of unification. Therefore, we will discuss division and unification in this paper. And the researchers want to find a way for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social and historical aspects, the division consisted of the division of the people, the division of territory, and the division of sovereignty. The division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e causes of the trace and the internal causes. Attributing the responsibility of division to external causes will lead to fatalis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ational responsibility and a historical self-reliance for division by supplementing internal causes from the cause of division. Unification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concept of unification in the divided period, of unification in the unifying era and of unification after unification. Even using the same word, the unification in the divided era is an occupying unification. The unification in the unifying era is aimed at ending division and restoring the nation as one. The unification after reunification has a focus on building a just society. It is expected that understanding of division and unification will contribute to forming a discourse on unification in the context of life in the Korean Peninsula.

Ⅰ. 들어가는 말

Ⅱ. 분단

Ⅲ. 통일

Ⅳ. 나가는 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