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상상공간 속 현실지리

Reality Geography in Imagination Space : Focusing on the East Asian Marine Culture in the Tang Dynasty

  • 41
156659.jpg

본고에서는 唐代 서사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해역에 존재했던 상상공간으로서의 국가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대는 동아시아와의 교류가 활발했던 만큼 동아시아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는데, 그중에서도 해양문화에 주목하여 동아시아 섬에 존재했다고 여겨지는 異域 국가들에 대해 고찰했다. 상상의 공간으로 등장하는 이역 국가들 중에서 대표적으로 신라의 동쪽에 위치했다고 하는 長人國, 오호츠크 해에 존재했다고 하는 長鬚國, 오키나와 바다에 있다는 狗國, 毛人國, 野叉國, 大人國, 流虬国, 小人國을 여러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들 나라는 때로 당나라의 외국에 대한 인식을 표현하는 공간이 되기도 하고 당대 지식인들의 이데올로기과 이상을 반영한 공간이 되기도 했으며 모험을 펼치는 상상의 공간으로 소설 창작에 새로운 소재를 제공하기도 했다.

This paper takes the narrative of Tang Dynasty as the research object, and investigates the countries with imagination space in the East Asian Ocean. The communication between Tang Dynasty and East Asia is very active, so there are many stories related to East Asia, among them, they also pay attention to the marine culture and investigate the foreign countries in East Asia. Among the foreign countries that appear in the imaginary space, the representative ones are Chang-ren-guo(長人國) located in the east of Silla, Chang-xu-guo(長鬚國) located in the Sea of Okhotsk and Gou-guo(狗國), Mao-ren-guo(毛人國), Ye-cha-guo(野叉國), Da-ren-guo(大人國), Liu-qiu-guo(流虯國), Xiao-ren-guo(小人國) located in the the Ryukyu Islands, are investigated through various records. These countries sometimes become a space to express the Tang Dynasty’s understanding of foreign countries, and also a space to reflect the ideology and ideals of contemporary intellectuals. As an imagination space for adventure, they provide new materials for novel creation.

1. 들어가며

2. 당대 동아시아의 해양루트와 해양문화

3. 당대 서사 속 상상공간과 현실지리

4. 나가며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