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기 남성의 가족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 for Middle-aged Males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상담심리교육복지
- 8권2호
-
2021.04203 - 218 (16 pages)
-
DOI : 10.20496/cpew.2021.8.2.203
- 408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남성의 가족관계 향상 경험과 요구를 파악하여 가족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중년기 남성 15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서면 면담을 실시하여 가족관계 향상 경험과 요구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지속적 비교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년기 남성의 가족관계 향상 경험은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노력과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중년기 남성은 가족관계 향상을 위해 소통과 경청의 시간, 여가시간 함께 하기, 아내와 좋은 관계 유지하기의 노력을 하고 있었고, 외부적인 어려움과 내면적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중년기 남성의 가족관계 향상 요구는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요구로 나타났다. 중년기 남성은 가족 간의 유대감 강화, 소통의 기술 습득, 가족관계의 회복, 자녀의 양육에 참여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의사소통 기술과 표현력 증진, 아버지와 남편의 역할 중요성 교육, 자녀관계 형성 방법, 부부치료이었다. 예비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중년기 남성을 위한 가족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 by examining experience of and demand for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 of middle-aged males. This study collected experience of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 and analyzed through continued comparison method by carrying out individual and written interview targeting 15 middle-aged male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 experienced by middle-aged males were efforts and difficulties for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 Middle-aged males were making efforts to have time for communication and listening, enjoying leisure time together and maintaining good relations with wife for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 and experiencing both external and internal difficulties. Second, demand of middle-aged males for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 was shown as necessity of and demand for a program. Results show that middle-aged males need a program for strengthening family tie, acquiring communication skills, restoring family relation and participating in child rearing. Demand for a program was for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expression, education of importance of the role of father and husband, how to form a relation with children, couple therapy etc. Based on the result of preliminary study,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family relation improvement program and suggested follow-up study for middle-aged mal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