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17.jpg
학술저널

법조일원화 시대의 법관전문화 방안

Judicial Specialization after Adopting Common Law Appointment System in Korea

  • 144

전통적인 사법부 역할은 중립적이고 독립된 법관에 의한 공정한 사법심사를 통해 국민의 침해된 권리를 구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경제성장과 더불어 여러 분야가 급격히 발전하고 법률분쟁이 복잡해짐에 따라, 사법부도 전문화를 통하여 재판의 질과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국민의 재판받을 권리를 실질적으로 실현할 책임을 안게 되었다. 2011년 법원조직법 개정으로 법조일원화 방식의 법관 임용제도가 도입되면서, 재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 기존 법관에 대한 연수 등을 통한 ‘양성’보다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갖춘 법관을 ‘임용’하여 그 전문성을 활용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문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우수한 법조인의 법관임용 지원을 유도하고 그 전문성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실제로 전문성 있는 법관이 전문법원이나 전문재판부에 배치되어 계속 근무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전문분야별로 선발된 법관이 동일법원에서 장기근무할 수 있도록 법관인사제도가 변화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인사제도와 관행 나아가 전반적인 사법제도를 고려하여 정밀하게 설계되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우리 법원은 재판의 전문화를 위하여 특허법원, 가정법원, 행정법원, 회생법원 등 전문법원을 설치하고, 각급 법원에 다양한 전문재판부를 두며, 전보인사의 방식으로 가사소년사건 전문법관제도를 시행하는 한편, 소액사건과 같은 특정 사무분담만을 담당하는 전담법관제 도입을 통한 법관의 다양화를 시도하고 있다. 나아가 개별 전문법원별로 그 특수성에 맞게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해 왔다. 그럼에도 개별 법원별 선발이 아닌 집단적 선발 방식으로 인해 전문분야별 법관 선발이 쉽지 않고, 원칙적으로 순환근무제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법관의 동일법원 장기근무 및 지속적 사무분담 보장이 어렵다. 이처럼 전문법관제도의 운용이 근본적으로 쉽지 않은 환경이다. 즉시임용제에서 법조일원화로 나아가고 있는 우리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면, 영국 등 법조일원화 국가는 물론 즉시임용제를 택한 유럽 국가의 재판의 전문성 확보 방식을 두루 살펴 제도설계의 기초로 삼아야 한다. 법조일원화 국가인 영국의 직무별 법관선발제도와 이를 뒷받침하는 비상근법관제도, 전보금지원칙 등을 통한 유럽 국가의 동일법원 장기근무 및 사무분담의 연속성 보장, 예비판사나 부판사 제도와 같은 법관종류의 다양화와 법관양성제도 등이 우리의 법관 전문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법원은 전문화를 통하여 재판의 질적 향상과 효율성 증대를 위해 노력하여야 하지만 전문화가 국민의 재판청구권 보장을 위한 수단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전문화로 인하여 재판의 독립과 공정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그로 인한 효용뿐만 아니라 필요한 절차비용 등 제반사정을 신중히 감안하여야 한다.

The primary role of the judiciary is to adjudicate disputes that come before it and provide legal remedies for those whose rights were infringed through fair trials overseen by impartial and independent judges. In modern society, where legal disputes are more complicated due in part to enormous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ctors in society, the judiciary is also responsible for the full realization of the people s right to a fair trial by enhancing quality and efficiency of justice through specialization. With the revision of the Court Organization Act in 2011, South Korea introduced a new judicial appointment system, modelled after the common law appointment system, that unified the legal profession by selecting judges from practicing lawyers and prosecutors who possessed sufficient legal experience. The need to “appoint” judges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experience to ensure expertise in trials has, therefore, become more important than the need to “train” existing judges to become specialized. In order to encourage excellent legal professionals with special knowledge and experience to apply for judgeships, the judicial system should assign judges with specialized knowledge to specialized courts or divisions where they could continue working within their area of expertise. This would be possible only when the current personnel system for judges is reformed so judges selected for each specialized field could work for a long time at the same court or division. Such required reform can be achieved effectively only when the reform is carefully designed considering the entire judicial system, as well as the existing personnel system and the judicial practice of case assignment among judges. In order to provide more specialized judicial service, the Judiciary of Korea has established specialized courts, such as patent court, family court, administrative court, insolvency court, and other various specialized chambers in general courts. In addition, in order to diversify judges, the Judiciary of Korea has implemented a system of appointing specialized judges, via personnel transfer, who can serve long periods of time in family courts, and a system of judges in charge who ar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specific types of cases, such as small claim cases in general courts. Individual specialized courts have also been developing internal systems to strengthen their own specialities. Despite all of these efforts for specialization, the current personnel systems for judges have caused limitations in improving the specialization of the judiciary. That is, the current centralized method of appointing judges nationwide without giving individual courts the discretion to select judges makes it difficult to recruit professional judges in each specialized field. Moreover, under the current system, judges rotate every 2-3 years between courts, making it impossible for judges to continue their work on similar types of cases for a long time at the same court. These systems have been fundamental barriers to the judicial specialization in Korea. Systems for recruiting and appointing judges varies among different legal systems. Since the judicial appointment system of Korea is in a state of transition from the European civil law system (where judges are appointed immediately following a judicial training program) to the English common law system (where judges are selected from practicing lawyers and prosecutors who possessed sufficient legal experience), it would be helpful to examine different ways for the specialization of judiciaries of both common law countries and European countries to lay groundwork for institutional designs.

제1장 서론

제2장 법관전문화와 전문법관의 활용모델

제3장 우리의 전문재판부와 전문법관 관련 제도

제4장 각국의 재판전문화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제5장 우리 법관의 전문화를 위한 방법론적 제안

제6장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