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818.jpg
학술저널

형사재판절차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onal data protection in criminal trial procedures

  • 169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현대 정보화 사회는 민간과 공공 부문 모두에서 대량의 개인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처리를 거쳐 유기적 조합에 따른 정보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제공되는 서비스의 효용을 향상시키는 양상을 띤다. 개인정보를 향한 산업적, 행정적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개인정보의 과도한 수집 및 무분별한 처리 관행이 새로운 문제로 등장하면서 개인정보의 보호와 적정한 활용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생겨나고, 강력한 규제를 수반하여 정보주체를 보호하는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형성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사회 전반으로 확산된 개인정보 보호의 요구는 고유한 성격의 전통적 규율에 따라 이루어지는 형사사법절차로까지 확대되어 사건관계인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새로운 통제규범으로 작동하는 적법절차원칙의 확장으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형사재판은 개인정보 보호의 일반원칙과 적정성이 담보된 개인정보 활용의 이념이 투영된 증거조사 및 소송절차로 재구성될 것이 요청된다. 피고인이나 피해자 등 다수 사건관계인의 방대한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증거자료로서 변론에 노출시키고, 공판절차에서 당사자 동일성 확인을 위한 목적으로 주소나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진술하도록 사실상 강제하는 형사재판의 실무와 관행은 개인정보 보호가 주요한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른 변화된 시대에서는 그대로 유지되기 어렵다. 형사재판에서 법원이 주체가 되어 관리하는 재판기록에는 다양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가 산재되어 있고, 피고인의 방어권 내지 피해자의 절차참여권에 따른 재판기록 열람·복사절차에서 개인정보 안전이 위협받게 되므로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소송서류의 제출 및 작성 단계에서의 편집처리(redaction) 확대 방안을 검토한다. 인터넷열람방식의 판결서 공개제도의 도입과 공개 범위 확대 논의는 상세한 범죄사실과 다수 사건관계인의 개인정보가 기재된 형사판결서와 관련하여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다각도의 분석과 노력이 선행될 것을 요구하는바, 기존의 비실명처리에 관한 기준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형사판결서의 공개 범위와 수준에 관하여 유연하고 세분화된 실무상 운영방안을 모색한다.

The moder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represented by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a tendency to widely collect a large amount of personal data from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and through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processing, makes information more valuable and useful with organic combinations while enhancing the utility of the services provided. As the industrial and administrative demand for personal data increases rapidly, practices allowing excessive collection of personal data and indiscriminate processing of them, have emerged as a new problem. Accordingly, social demands for the protection and proper use of personal data have arisen, which has led to the creation of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legislation that aims at protecting the subjects of data with strong regulatory measures. The demand for personal data protection, which has spread throughout society, extends to criminal justice proceedings made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rules and regulations comprising the unique attributes. Thu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regarding the personal data of persons involved in a case is embodied as an extension of the due process of law, which acts as a new control norm for criminal justice agencies.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riminal trials into the procedures of the examination of evidence and the hearings that reflect the general principles of personal data protection and the idea of using personal data based on appropriateness. In the existing practical affairs and practices of criminal trials, a vast amount of personal data such as that of the accused, victims, etc. is collected and used in pleadings as evidence, and individuals are actually forced to state personal data such as their addresses or identification numbers, etc.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parties in the trial process. However, in a new era where personal data protection has emerged as a major social issue, it is hard to keep such practices as they are. The personal data of various data subjects is scattered in the trial records managed by and in the custody of the court in criminal trials, and the security of personal data would highly likely be threatened in the procedure of accessing and copying the trial records in the course of guaranteeing the defendant s right to defense or the victim s right to participate in the proceedings. As a complementary measure for such problems, this paper has reviewed the ways to expand the redaction process in the stage of submission and production of litigation documents. The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disclosure system of judgments available on the Internet and also on the expansion of scope in disclosure would inevitably require multilateral analyses and multifold efforts in a bid to protect personal data regarding criminal judgments that contain detailed crime facts and the personal data of many persons involved in the cases. From the aforementioned perspectives, this paper has targeted to provide the improvement plans as regards the existing standards for the non-real name process and also has sought more flexible and detailed practical operation methods regarding the scope and level of disclosure of criminal judgments.

제1장 서론

제2장 개인정보 보호법제 일반

제3장 형사사법절차와 개인정보

제4장 형사재판과 개인정보 처리

제5장 형사재판절차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제6장 형사재판에서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개별문제

제7장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