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 대한 평가가 인종, 학력, 학벌 등의 스테레오타입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때 이주민의 출신지역에 따라 이주민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 이주민들에 대한 호감도를 조사하고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타자로 인식되는 한국에 이주한 이주민 이해를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에 있어서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 재학 중인 한국인 대학생과 한국에 거주하는 조선족 유학생이 다. 한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이주민 집단 간에 호감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1과 한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조선족에 대한 호감도와 조선족 유학생이 인식하는 한국인에 대한 호감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SPSS21을 이용하여 설문조사 결과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독립표본 검정(t-검정)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ANOVA를 통해서 검증한 <가설1>은 6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남을 검증하였다(F=4.74, p< .05). 독립 표본 검정(t-test) 결과 t=-5.00, p= .00로 가설 2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서 채택되었다 호감도를 외적 호감도와 내적 호감도로 구분했을 때, 한국에 이주한 조선족에 대한 인식은 외적 호감도와 내적 호감도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조선족의 외적 호감도가 낮은 원인에는 미디어와 매체의 범죄 이미지로 인한 선입견과 편견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족에 대한 내적 호감도는 이질적인 문화와 조선족의 정체성 문제에 따른 이질감으로 인한 친밀감 결여, 관계의 문제 때문에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국인의 조선족에 대한 내적 호감도를 높이려면 조선족의 이중정체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주민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문화 상대적인 태도로 타자를 이해하는 문화감수성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청년들의 이주민 이해를 위한 조선족 호감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대학생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이주’에 대한 태도를 알아볼 수 있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king of Korean immigrants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o conduct basic research to understand immigrants who have immigrated to Korea who are perceived as other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Korean-Chinese students living in Korea.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H 1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liking between immigrant groups recogniz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H2 that therewill be a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Chinese liking perceiv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Korean-Chinese foreign student preference for Koreans. For this,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one-way batch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an independent sample test (t-test) using SPSS2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H 1 verified through ANOVA verifi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6 groups was significant (F=4.74, p< .05).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est (t-test),H2was adopted as t=-5.00, p= .00,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liking was divided into external liking and internal liking, looking at the narrative survey result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perception of Korean-Chinese who migrated to Korea was negative in both. For thi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migrants, cultural sensibilities of understanding the other with a culture-relative attitude will b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perspective of immigr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migrant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by looking at the Korean-Chinese liking for the understanding of immigrants of Korean youth.
Ⅰ. 서론
Ⅱ. 가설 검증
Ⅲ. 이주민 집단의 호감도 향상을 위한 문화 감수성 함양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