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운동시간의 변화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GRIT) 변화량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Change in the Effect of Change in Exercise Time on Change in Self-esteem in Adolescents

DOI : 10.12925/jkocs.2021.38.2.543
  • 147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운동시간의 변화가 자아존중감의 변화로 이어지는 관계에서 그릿의 변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의 중1 코호트 2개년도 자료 중 결측치를 포함한 케이스를 제외한 2,438명(남=1,327명, 여=1,111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각 변인의 변화량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1차년도 측정값과 2차년도 측정값의 회귀분석에서 생성된 표준화잔차점수를 변화량 변수로 활용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운동시간의 변화량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량, 그릿의 변화량은 모두 서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운동 시간의 변화가 그릿의 변화를 통해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시간이 감소가 청소년의 그릿과 자아존중감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hange of grit in the relationship that the change of exercise time of adolescents leads to the change of self-esteem. The data of 2,438 students (male = 1,327, female = 1,111)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cases including missing values in the data from the wave 1 and wave 2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2018. The standardized residual score genera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values in wave 1 to the values in wave 2 was used as a variable for the amount of change. As a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change in all three variabl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that the change of exercise tim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the change of self-esteem through the change of grit is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olescents, exercise time is gradually decreasing as the grade goes up, and this has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grit and self-esteem.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