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 동안 월악산 모니터링 조사 지점과 동일지구에 대해 정기적인 주간조사를 통해 주간곤충류(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나비목)의 종목록을 확보 하여, 월악산국립공원의 생태계에 자연적 혹은 인위적으로 변화된 내용을 측정하여 곤충자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조사기간 동안 채집 확인된 주간곤충류는 65과 404종(노린재목 21과 86종, 딱정벌레목 38과 244종, 나비목 6과 74종)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문헌조사를 포함한 결과 월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주간곤충류는 멸종위기야생동물 2종, 고유종 6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0종과 특정종 50종을 포함하여 총 72과 609종(딱정벌레목 44과 368종, 노린재목 22과 126종, 나비목 6과 115종)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사지점별 분석결과 S3에서 종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10은 다른 조사지점과 다르게 종다양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조사기간별우점종으로는 2007년과 2009년도에 넉점박이송장벌레, 2008년도에는 더듬이긴노린재로 나타났다.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three years from 2007 to 2009 and at the same points as monitoring surveys, through regular surveys insects (Hemiptera, Coleoptera, Lepidoptera) to obtain the list, to measure and assess Woraksan National Park ecosystem’s natural or artificial change, to provide data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contents of insects. As a result of all the collections were examined, 404 species of 65 family under 3 order were identified. Therefore, the species composition of insect over each result from Woraksan National Park’s was a total of 3 orders, 72 families, 609 species including 2 Endangered species, 6 Endermic species, 10 Management of exotic species and 50 Designated species; 368 species of family Coleoptera which is the highest, 126 species of family Hemiptera and 115 species of family Lepidoptera. Site 3 had the highest indices diversity. In contrast, Site 10 indices diversity, different from the other survey points, were significantly low. In each survey period, dominant species included Nicrophorus quadripunctatus in 2007 and 2009. In 2008, dominant species was Pachygrontha antennata.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감사의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