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탄소저장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봉지구, 우이령지구, 정릉지구로 나누어 대표 낙엽활엽수림 군락을 중심으로 조사구(30 m × 30 m, 3지점)를 설치, 식생권과 토양권의 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다. 식생권의 탄소량은 88∼100 tC ha−1의 범위로 평균 약 93 tC ha−1 정도의 양을 축적하고 있었다. 또한 토양권의 탄소량은 49∼64 tC ha-1의 범위로 평균 약 55 tC ha−1 정도의 양을 축적하고 있었다. 토양권과 식생권을 포함한 생태계 전체의 탄소저장량은 142∼156 tC ha−1의 범위로 평균 약 149 tC ha−1 정도의 양을 축적하고 있었다. 값의 범위에서 알 수 있듯이 지구별 차이가 크지 않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 추정 값에는 고사목이라는 탄소량의 평가가 누락되어 과소평가 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탄소가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ool-temperate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are one of dominant forest cover types in Asia monsoon climate regions.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how much storages carbon in these ecosystems is limited. We studied carbon storage in three cool-temperate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at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The biomass of trees in the three stands on an average was 93 tC ha−1 and ranged from 88 to 100 tC ha−1. The total amount of soil organic matter at a depth of 30 cm was 55 tC ha−1. In addition, the total carbon pools of biomass and soil was approximately 149 tC ha−1, ranged from 142 to 156 tC ha−1. Above values among three stands did not show the valuable difference at Bukhansan National Park. The total ecosystem carbon pools might be underestimated in this study because the amount of coarse woody debris was not estimated. Nevertheless, the amounts of carbon storage in three ecosystems at Bukhansan National Park, were somewhat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udies.
서론
조사지 개요 및 조사 방법
결과
고찰
감사의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