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735.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주왕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Special Protected Area in Juwangsan National Park

  • 8

본 연구는 산철쭉과 가시오갈피 특별보호구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자생지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7개 특별보호구 내외부의 식물상은 58과 103속 122종 1아종 16변종 3품종 등 총 14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층위별 우점종 분석 결과, 교목층은 갈참나무(1번·2번·3번 조사구), 졸참나무(4번 조사구), 까치박달(5번 조사구), 느티나무(6번 조사구), 물박달나무(7번 조사구), 아교목층의 경우 굴참나무(1번 조사구), 갈참나무(3번·6번 조사구), 굴피나무(4번 조사구), 물푸레나무와 산벚나무(7번 조사구)로 나타났다. 관목 1층의 우점종은 느릅나무(1번 조사구), 회잎나무(2번 조사구), 산뽕나무와 덜꿩나무(3번 조사구), 신나무(4번 조사구), 생강나무(6번 조사구), 개암나무와 신갈나무(7번 조사구)이며, 관목 2층은 국수나무(1번 조사구), 생강나무(2번 조사구), 조록싸리(3번·4번 조사구), 고광나무(5번 조사구), 고추나무와 줄딸기(6번 조사구), 생강나무·노린재나무, 가시오갈피(7번 조사구)로 나타났다. 초본층의 우점종은 쑥과 돌콩(1번 조사구), 담쟁이덩굴·산새콩·대사초(2번 조사구), 맑은대쑥·김의털·털대사초(3번 조사구), 김의털(4번 조사구), 산새콩·멸가치·주름조개풀(5번 조사구), 주름조개풀(6번 조사구), 오미자(7번 조사구)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ing and restoring habitats by analys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bout special protected area of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H.Lév) Sugim.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Maxim.) Maxi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surveyed inside and outside were 142 taxa; 58 families, 103 genera, 122 species, 1 subspecies, 16 varieties and 3 forma. The dominant species of tree layer were Quercus aliena(plot 1·2·3), Quercus serrata(plot 4), Carpinus cordata(plot 5), Zelkova serrata(plot 6) and Betula davurica(plot 7). The dominant species of subtree layer were Quercus variabilis(plot 1), Quercus aliena(plot 3·6), Platycarya strobilacea(plot 4), Fraxinus rhynchophylla·Prunus sargentii(plot 7). The dominant species of shrub first layer were Ulmus davidiana var. japonica(plot 1),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a(plot 2), Morus bombycis·Viburnum erosum(plot 3), Acer pictum subsp. mono(plot 4), Lindera obtusiloba(plot 6) and Corylus heterophylla·Quercus mongolica(plot 7), in case of shrub second layer, the dominant species were Stephanandra incisa(plot 1), Lindera obtusiloba(plot 2), Lespedeza maximowiczii(plot 3·4), Philadelphus schrenckii(plot 5), Staphylea bumalda·Rubus oldhamii(plot 6) and Lindera obtusiloba·Symplocos cinensis for. Pilosa·Eleutherococcus senticosus(plot 7). The dominant species of herbage layer were Artemisia princeps·Glycine soja(plot 1), Parthenocissus tricuspidata·Lathyrus vaniotii·Carex ciliatomarginata(plot 2), Artemisia keiskeana ·Festuca ovina·Carex ciliatomarginata(plot 3), Festuca ovina(plot 4), Lathyrus vaniotii·Adenocaulon himalaicum·Oplismenus undulatifolius(plot 5), Oplismenus undulatifolius(plot 6) and Schisandra chinensis(plot 7).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결론

사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