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려해상국립공원 상주·금산지구와 거제·해금강지구에서 2012년 5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계절별로 이각망 등으로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상주·금산지구에서 9목 35과 58종, 2,743마리, 68,531.2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개체수에서는 전갱이가 42.1%(1,156마리)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생체량은 성대가 24.5%(16,823.4g)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거제·해금강지구에서는 10목 27과 48종, 1,779마리, 176,629.9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개체수에서는 전갱이가 24.1%(411마리)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생체량은 뱅에돔이 25.4%(44,839.4g)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개체수와 생체량의 계절별 변화는 수온과 관련성이 있으며, 여름과 가을철이 겨울보다 개체수와 생체량이 높았다. 상주·금산지구와 거제·해금강지구에서의 어류의 종조성은 회유성 어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from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angju · Gumsan and Geoje · Haegumkang reg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were determined by the analysis of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fyke net etc. from May, 2012 to February, 2013. In this survey 9 order, 35 families, 58 species (2,743 individuals, 68,531.2 g) were collected in Sangju · Gumsan region. Of them Trachurus japonicus occupied 43.2% of total individuals and Chelidonichthys spinosus occupied 24.5% of whole biomass. In Geoje · Haegumkang region 10 order, 27 families, 48 species (1,779 individuals, 176,629.6 g) were collected. Of them Trachurus japonicus occupied 23.1% of total individuals and girella punctata occupied 25.4% of whole biomas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er in summer and autumn than in winter, and the seasonal variation may be related to the water temperature.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as affected by a migratory fish in Sangju · Gumsan and Geoje · Haegeumkang region.
서론
조사내용 및 방법
결과
고찰
사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