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746.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의 조류 현황

Bird Status of Heuksan-do(Is.), Dodohaehaesang National Park in Korea

  • 55

철새의 이동생태를 연구하기 위해 2012년 7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에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결과 총 234종 73,492개체가 관찰되었으며, 그 중 오리과(Family Anatidae)와 멧새과(Family Emberizidae)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으로는 직박구리 Microscelis amaurotis(9.4%), 박새 Parus major(8.4%), 동박새 Zosterops japonicus(7.9%),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7.3%),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6.0%)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겨울철에 일부 오리류와 괭이갈매기가 대규모로 도래하여 흑산도를 월동지로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월별 도래현황을 보면 나그네새의 이동시기인 봄(4~5월)·가을(10월)에 높은 종수 및 개체수가 기록되었고, 주로 번식조류가 관찰되는 여름철(6~7월)에는 낮은 종수가 기록되었다. 종 및 개체수를 반영한 종다양도(H )와 종풍부도(R ) 지수 또한 봄·가을에는 높게, 여름에는 낮게 기록되었다. 환경부, 문화재청, IUCN 등이 지정한 멸종위기 및 법정보호종은 총 29종이 관찰되었다. 또한 기존 철새연구센터의 종 목록에서 멋쟁이새 Pyrrhula pyrrhula 1종이 새롭게 관찰되었다.

We monitored migration pattern of birds on Heuksan-do(Is.),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from July 2012 to Jun 2013. A total of 73,492 birds in 234 species were recorded. Anatidae (12.4%) and Emberizidae (10.5%) were the most abundant familys. The brown-eared Bulbul Microscelis amaurotis (9.4%)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followed by the Great Tit Parus major (8.4%), the Japanese White-eye Zosterops japonicus (7.9%), the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and the Pale Thrush Turdus pallidus (6.0%). Biodiversity (H ) and Richness (R ) indices were high in spring and autumn migration seasons, whereas the indices were lower in summer. A total of 29 species which are designated as threatened or endangered species were recorded and Eurasian Bullfinch Pyrrhula pyrrhula was observed for the first time in the study site.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사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