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Does a Smart City Need Feedback? - Analyzing Big Data on Citizen Opinion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7 No.1
-
2021.01141 - 153 (13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1.17.1.141
- 27

스마트시티에 관한 기존연구는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빅데이터의 사용과 기술의 적용에 관한 논의가 대다수였다. 도시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기술 자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방식으로 기술을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스마트시티 개발에 대한 연구 관심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효율적인 솔루션을 어디에서어떻게 찾는가로 옮겨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의 비공식적 의견이지만 빅데이터인 민원을분석하여 정책수요를 파악하고, 그에 부응하는 정책대안을 제공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소개하고자한다. 분석대상은 남양주의 시민 참여 플랫폼에서 2007 년부터 2016 년까지 567,230 건의 민원이고, 시민의 정책수요에 부응하는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시민중심의 정책대안을 모색한다. 전화와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민원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결과, 롱테일 현상이 나타나고 도시민의다양한 정책수요 예측이 가능함을 검정하였다. 특히, 인터넷 기반 민원플랫폼은 시민 참여와 정책수요의 다양성을 증가시켜, 도시민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책수단임을 강조한다.
This study introduces a novel approach to analyzing informal opinions of city residents to provide a plan that would respond to their needs. By analyzing 567,230 civic queries from 2007 to 2016 on the civic participation platform of the smart city of Namyangju,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sustainable development in a city to enable a citizen-centric plan to implement a smart city that satisfies the demands of the residents. By examining long-tail phenomena in big data on civil opinions collected through telephone and the internet, this research specifies citizen demand. Using an econometric demand-forecasting approach, it provides scientific evidence for policies to meet citizens’ demand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internet-based technologies increase the variety of civil participation, thereby creating a longer tail and producing a lower Gini coefficient in the distribution of policy demands.
Ⅰ. Introduction
Ⅱ. Long-tail Model and Gini Coefficient
Ⅲ. Data and Method
Ⅳ. Empirical Results Analysi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