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7657.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별입지 밀집지역 주거환경 적합성 평가

Residential Environmental Suitability Evaluation on the Area Packed with Independently Located Factories - Focused on Sawol Community, Incheon, Korea

DOI : 10.14251/crisisonomy.2021.17.1.63
  • 208

공업지역 외 자연녹지 등 비도시지역에서 공장 신·증축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건축규제가완화되고 환경영향평가 절차가 간소화 및 생략됨으로써, 공장의 개별입지가 가속화되었다. 이에 따라 자연녹지지역과 같은 비도시지역은 계속해서 공장 등 기피시설의 입지가 늘어났고, 이들 시설에서 배출하는 화학물질, 먼지, 소음, 악취 등에 의해 주거환경의 악화가 가속화되었다. 기존의 주거환경 평가 연구는 주거환경정비지수 및 주거관리지수 등 시설의 확충과 인프라 정비사업에 초점이맞춰져 있었기에 주민의 건강성과 환경기피시설에 대한 안전성 부문에 대해서는 평가의 틀이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UNISDR, IPCC등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모델을 수용하여 Residential Environment Risk Index 모델을 개발하고, 공장 등 개별 사업장으로부터 환경영향의 피해가 심해 이슈가 되었던사월마을을 수용체로 주거환경위험성을 평가하여 주거환경적합성을 평가하였다.

The individual location of the factory was accelerated by deregulates building regulations and simplifie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cedures to facilitate the expansion of factories in non-urban areas such as natural green areas. As a result, non-urban areas such as natural green areas continued to increase the location of avoiding facilities such as factories,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accelerated by chemicals, noise, and odors emitted from these facilities. The existing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study focused on expanding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maintenance projects such as the HEMI so the evaluation framework for residents’ health and safety of environmental avoidance facilities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RERI model was developed by accepting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models such as IPCC,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uitability was evaluated b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risk as a receptor.

Ⅰ. 서 론

Ⅱ. 주거환경평가관련 선행연구

Ⅲ. 자료 및 평가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